새 정부 출범을 이틀 앞두고 정호영(62)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 임명이 강행될지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야당의 성토 속에 극도의 대치 상태로 인사청문회가 끝났지만 전국 각지 의사단체가 주말 동안 장관 지지 성명을 냈다. 윤석열 당선인 역시 9일까지 국회에 청문보고서 재송부를 요청하며 물러서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대전·충북·충남 의사회 등 13개 지역 의사회는 지난 6일부터 8일까지 각각 개별·공동 성명을 내 정 후보자 임명 지지를 선언했다. 정 후보자 역시 6일 입장문을 새로 내 “인사청문회를 통해 그간 제기된 의혹들에 대해 사실에 근거하여 성실히 설명하고자 노력했다”면서 “행여나 아직 해소되지 않은 의문이 있다면, 마지막까지 책임있게 상세히 설명드릴 수 있도록 노력 하겠다”고 했다. 사실상 사퇴의사가 없음을 재확인한 셈이다.
이날 성명을 낸 대전·충북·충남 의사회는 “(정 후보자가) 코로나19와 같은 국가 공중보건 위기상황이 다시는 재발하지 않도록 후속 대책에 만전을 기해줄 적임자라 판단하며 임명을 촉구한다”고 했다. 이들은 “코로나19가 조속한 시일 내에 엔데믹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코로나19에 대한 지휘경험이 있는 보건복지부장관이 분명 필요한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다른 지역 의사회가 낸 지지 이유도 대동소이했다.
지난 3일 정 후보자 청문회는 더불어민주당이 정 후보자의 답변 태도와 불성실한 자료 제출을 문제 삼아 집단 퇴장하며 파행으로 마무리됐다. 정 후보자 자녀가 경북대 의대 편입학한 일이 드러난 게 이른바 ‘공정’ 이슈에 민감한 국민정서를 건드렸다. 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 인준과 정 후보자 임명이 연결될 경우 또다른 마찰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 후보자가 결국 낙마할 경우 코로나19 방역정책을 둘러싼 상황은 복잡해진다. 자칫 장관 자리가 공석인 상태로 결정이 내려지거나 권덕철 현 장관이 결정권자가 될 가능성이 있다. 앞서 대통령직인수위원회와 현 정부 간 갈등을 빚었던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이슈, 혹은 이달 말 예정된 코로나19 감염병 2급 조정 이행기 시점 등 여러 문제에서 논란이 재현될 수 있다.
조효석 기자 prome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