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미국에서 발생한 우리 기업의 특허 소송이 전년 대비 약 3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청과 한국지식재산보호원은 미국 내 특허소송 동향, 주요 지식재산 이슈 등을 분석한 ‘2021 IP 트렌드(Trend) 연차보고서’를 8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에서 발생한 우리기업의 특허소송은 2020년 187건보다 약 33.7% 늘어난 250건으로 조사됐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 관련 소송이 210건, 중소기업 관련 소송이 40건으로 대기업이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대기업의 경우 대부분 피소(176건)였지만 중소·중견기업은 제소(24건)가 피소(16건)보다 많아 해외기업에 적극적으로 권리를 행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야는 정보통신·전기전자 분야가 74%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전체 피소 건수 중 특허권 행사로 수익을 창출하는 특허관리회사(NPE)에 의한 피소 비중은 77.6%에 달했다.
특히 정보통신 분야 소송이 전년 대비 약 74.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관련 기업들의 대비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지식재산보호 종합포털 IP-NAVI를 통해 누구나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남영택 특허청 산업재산보호정책과장은 “수출기업들은 지식재산 분쟁 대응 전략을 보다 면밀하게 세워야 할 필요가 있다”며 “우리기업이 해외 지식재산권 분쟁 시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주요 NPE 분석, 주요 지식재산권 판례 분석 등 심층 정보를 제공할 것”이라고 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