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 식용’ 입장차 여전… 논의기구 2개월 뒤 결론 낼까

입력 2022-05-06 11:39

당초 4월까지 운영하기로 했던 ‘개 식용’ 관련 사회적 논의 기구가 2개월 연장 운영된다. 개 식용 금지 추진은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공약이자, 최근에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후보자가 “우리 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이라고 언급한 사안이기도 하다. 새 정부에서 개 식용 금지 논의 향방이 주목된다.

앞서 문재인정부는 지난해 12월 9일 ‘개 식용 문제 논의를 위한 위원회’를 출범시켰다. 농식품부는 6일 “활발한 논의를 통해 개 식용 종식이 시대적 흐름이라는 인식에 공감대를 이루는 성과가 있었으나, 아직 합의에는 이르지 못했다”며 “추가적인 논의를 위해 위원회 운영을 2개월 연장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운영 초기부터 개 식용 문제를 둘러싸고 이해관계자 간 입장 차가 컸던 탓에 상호 이해의 폭을 넓히는 것에 중점을 둬 운영했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동물보호단체, 육견업계, 전문가, 정부 인사 등 21명으로 구성돼있다.

정부는 이번에 처음으로 식용 목적 개 사육 현황을 점검하고 국민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조사도 실시했다. 또 갈등관리 전문기관을 통해 참여 위원과 관련 업계 종사자 등에 대한 심층 면접도 진행했다.

앞서 윤 당선인은 공약에 ‘개 식용 금지 추진’을 넣은 바 있다. 지난 3일 발표한 국정과제에는 개 식용 금지 관련 조항은 없지만 ‘사람과 동물이 모두 함께 행복한 건전한 반려문화 조성’을 포함시켰다.

정 후보자도 주철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서면 질의에 “반려견 가구의 증가, 동물 복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개 식용 금지는 우리 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이라고 답했다. 그는 “개 식용 문제는 우리 사회의 오래된 갈등 사안으로 사회적 합의가 중요한 만큼 육견업계와 동물보호단체 등의 의견을 충분히 듣고 조정해 ‘개 식용 종식’이라는 대타협을 이뤄내도록 노력하겠다”며 “합의가 이뤄지면 정부는 위원회 합의 결과를 실천하기 위한 관련 법 개정 등 후속 조치를 추진하도록 하겠다”고 부연했다.

세종=신재희 기자 j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