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경남 건설현장 2년만에 멈추나”…9일 레미콘 파업

입력 2022-05-05 10:57
레미콘 차량들이 4월 26일 경기도 고양시의 한 레미콘 공장에 줄지어 서 있다. 연합뉴스

부산과 경남지역 레미콘 노사가 최종 협상 시한인 4일까지 견해차를 좁히지 못하면서 결국 9일부터 총파업에 들어가기로 했다.

전국건설노동조합 부산건설기계지부는 “예정대로 9일부터 부산과 김해시, 양산시, 창원시 진해군 전 현장에 대한 레미콘 운반은 중단하고, 총파업에 돌입한다”고 5일 밝혔다.

노조는 이달 초부터 사측인 부산경남레미콘산업발전협의회와 임단협 교섭을 벌여 왔지만, 운송료 인상 등을 놓고 합의하지 못했다.

노사 대표는 전날 오후 2시 최종 협상 테이블에서 막판 조유을 시도했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노조는 그동안 운송료 35% 인상(1만7300원)을 주장했고, 협의회 측은 14%(7000원) 인상안을 제시해왔다.

레미콘 차량 1회 운송단가는 지역별로 다소 차이가 있지만, 부산·경남은 평균 5만원이다.

노조는 오는 6일 오후 2시 레미콘지회 확대간부회의를 열어 총파업 투쟁에 대한 결의를 모으고, 구체적인 총파업 투쟁계획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노조 측은 “레미콘 노동자들은 이른바 특수고용노동자들로 자신의 장비를 스스로 구매해 할부금, 부품비, 수리비, 보험료 등을 감당해야 하고 4대 보험과 퇴직금도 없는 열악한 상황”이라면서 “인간다운 생활을 위한 최소한의 요구를 거부한 사측을 규탄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협의회는 “광주 등도 7000원을 인상했고 우리도 다른 지역과 비슷하게 올려주고자 했으나 협의가 이뤄지지 않았다”면서 “제조사들도 원자재인 시멘트가 15.1% 올랐고, 유류가 50% 오른 상황이라 노조의 인상 요구를 모두 반영해주기 어렵다”고 밝혔다.

앞서 2020년 5월 임단협 불발로 노조는 2주간 총파업을 진행했고, 사측과 ‘강 대 강’ 대치 끝에 5만원에 합의한 바 있다. 당시 부산 최대 공사 규모인 강서구 에코델타시티 현장 골조공사가 완전히 멈추는 등 지역 주요 공사 현장에 레미콘 공급이 완전히 끊어지면서 건축 공사 진행에 난항을 겪었다.

한편 부울경 철근·콘크리트(철·콘) 하도급 회사 24곳도 원자잿값 상승을 이유로 공사 중단을 경고하고 나섰다. 이들은 6일부터 모든 회원사 전 공사 현장에 대해 공사 중단(셧다운)에 들어가기로 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