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3일 열린 국회 인사청문회를 통해 정호영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를 둘러싼 의혹이 충분히 소명됐다고 자평했다.
김형동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4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나와 “위법성이 드러났다, 안 드러났다고 확인은 어려울 것 같다”며 “다만 그동안 당내 의원들마저도 모르고 있었던 부분이 조금은 해소됐다”고 밝혔다.
김 수석대변인은 예시를 들어달라는 진행자 질문에 “(편입 전형이) 2017년과 2018년에 차이가 있었기 때문에 실력이 그 전 요강에 따르면 부족했지만, 그 다음 해에 들어갈 수 있었다”며 “부모님 찬스를 이용해서 스펙을 쌓던 부분과 관련해서 국민의 시선이나 눈높이에 맞게 변론했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그동안 의문이 제기됐던 것들에 대해서 청문회에서 다 할 순 없었지만, 조금은 간극을 줄일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전날 정 후보자의 적극적인 해명에도 불구하고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답변 태도와 늦은 자료 제출 등을 문제 삼아 청문회 도중 퇴장했다. 이와 관련, 김 수석대변인은 “국회법을 철저하게 준수하겠다고 늘 공언해오던 여당의 기존 입장하고 상당히 모순되는 부분”이라며 유감을 표했다.
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 인준이 시급하다며 중요성을 역설했다. 김 수석대변인은 “헌법상 총리에게 각료에 대한 제청권이 있기 때문에 (인준이) 급하다”며 “일주일도 안 남은 윤석열정부 출범을 앞두고 너무 늦어지는 것 아닌가, 국민들께서도 많이 우려한다”고 주장했다.
김 수석대변인은 “한 후보자가 도덕적으로나 어떤 실정법상 위반이 있었나 보면, 그렇지는 않았다”며 “공직자 퇴임하고 이른바 큰 법무법인 등에 가서 과도한 수수료를 받았지 않느냐라는 부분에 대해서는 몇 번 고개를 숙였다”고 밝혔다. 이어 “빨리 민생에 전념할 수 있도록 거대 여당인 민주당도 도움을 주셨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김인철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자진 사퇴와 관련해서는 “후보자 본인이 결단을 내리고 물러선 것”이라며 “본인이 청문회에 갔다면 (의혹에 대한 해명을) 밝힐 수 있었겠지만, 개인 판단을 존중한다”면서 말을 아꼈다.
그는 검찰 수사권 분리 입법절차가 끝난 것에 대해 “수사 영역에서 국민들과 힘없는 약자들에게 피해가 돌아갈 ‘검수완박법’이 통과됐다”며 “공무원 범죄나 선거범죄가 검찰의 직접 수사권에서 제외되면서 사실상 힘 있는 자들은 검찰의 수사 칼날을 피하는 아주 무책임한 입법으로 기록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찬규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