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4일 “다음 정부는 우리 정부의 성과를 전면적으로 부정하다시피 하는 가운데 출범을 하게 돼 우리 정부의 성과·실적·지표와 비교를 받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문재인정부 백서 발간을 기념해 청와대에서 주재한 대통령 직속 국정과제위원회 인사들 초청한 오찬에서 “방대한 국정자료와 통계를 포함한 백서를 남겼기 때문에 이 자료들로 이어지는 다른 정부와 비교가 이뤄질 것”이라며 이처럼 말했다.
전날 윤석열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발표한 110대 국정과제 대부분이 문재인정부 정책을 부정하고 있는 것에 대해 불편한 심경을 숨기지 않은 것으로 풀이된다.
이어 문 대통령은 “우리와 많은 점에서 (윤석열 정부는) 국정에 대한 철학이 다르다고 느끼고 있지만, 철학이나 이념을 떠나 오로지 국민과 국익, 그리고 실용의 관점에서 우리 정부가 잘 한 부분들은 더 이어서 발전시켜 나가고 우리 정부가 부족했던 점들은 거울삼아서 더욱 잘해주길 바라는 마음”이라고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가 남긴 방대한 국정기록은 기록에 그치는 게 아니라, 미래 정부에 지침이 되고 참고가 된다는 점에서 매우 뜻깊은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결국 역사는 기록”이라며 “지금은 국정이 항상 공개되고 언론이 취재해 모든 것이 기록될 것 같지만, 때로 언론은 편향적이기도 해서 전체 국정기록을 남기는 것은 정부가 해야 할 책무”라고 말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을 언급하며 기록의 중요성을 재차 강조하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노 전 대통령은 ‘시간이 지나면 역사가 알아준다’는 말을 좋아하지 않았다”며 “지금은 평가받지 못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평가를 받게 될 것이라는 위로가 내포돼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실제로 그 말대로 됐다”며 “노무현정부의 성과와 업적은 시간이 지날수록 더 높이 평가되고 있는데 그것은 당시 국정자료와 통계자료를 남겼기 때문이다. 그 지표들을 다음 정부와 비교할 때마다 노무현정부가 경제, 안보에서도 유능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고 말했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