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앤장 법률사무소 측이 3일 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에게 지급한 고문료 20억원을 둘러싼 논란과 관련해 “업계에서 합리적인 수준”이라고 일축했다. 한 후보자의 경력, 식견 등을 종합해 산출한 금액일 뿐 어떤 식의 전관예우나 청탁이 없었다는 것이다.
정계성 김앤장 합동법률사무소 변호사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열린 국무총리 후보자 인사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해 “한 후보자의 경력, 식견, 여러 가지 과거의 경험, 외국이나 국내 기업들 고객들에게 설명할 수 있는 그런 능력들을 높게 봤다”고 말했다.
한 후보자의 김앤장 내 역할과 관련해선 “우리 기업에 대한 통상이나 국제 (문제 등을) 설명했다”며 “정부 기관에 영향력을 발휘해달라고 어떤 부탁도 한 적이 없다”고 강조했다.
정 변호사는 국회 인사청문특별위원회 여당 간사인 강병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 후보자로 인해) 어떤 효과를 기대했나’고 묻자 “외국 고객이나 내국 기업들이 대외적인 거래나 우리나라에 출자하거나 투자할 때, 또 우리나라 기업이 해외 투자할 때 그 나라의 경제, 통상 관계 거시적인 측면에서 일반적인 얘기를 해주는 것”이라고 답했다.
이어 “그 나라에 투자할 때는 이런 점을 조심해야 한다, 통상 문제가 생겼을 때는 어떻게 어프로치를 하는 게 좋다는 것”이라며 “우리나라가 법치주의고 지금 정부 정책이 이런 산업을 앞으로 이렇게 보호하고 육성하려고 하는구나 등의 내용을 아는 것이 그 사람들에게는 엄청나게 가치가 있는 내용”이라고 부연했다.
정 변호사는 강 의원 질의에 앞서 인사청문특별위원회 야당 간사인 성일종 국민의힘 의원이 ‘다른 로펌들이 한 후보자를 모셔간다고 했으면 그(20억원)보다 더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라고 묻자 “다른 데 가시더라도 받을 수 있었을 것”이라고 답하기도 했다.
이에 성 의원이 ‘업계에서는 합리적인 선이라고 이해하면 되나’라고 묻자 정 변호사는 “그렇다”고 고개를 끄덕였다.
정 변호사는 또 ‘한 후보자가 고문 활동하면서 정부 부처와 관련한 업무를 하신 적 있나’라는 질문에는 “제가 알고 있기로는 한 건도 없다”고 답하기도 했다.
앞서 한 후보자는 2002~2003년, 2017년부터 2021년까지 김앤장에서 고문으로 일했다. 민주당은 한 후보자가 김앤장에 근무할 당시 20억원에 이르는 ‘고액 보수’를 받았다며 전관예우 특혜 의혹과 이해충돌 가능성을 제기했다.
송태화 기자 alv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