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안 산불’ 주택복구비 50㎡ 기준 9000만원 지원

입력 2022-05-03 13:52 수정 2022-05-04 10:10
지난 3월 5일 강원도 동해시 묵호항 인근 주택가의 주택과 건물들이 화염에 휩싸여 있다. 연합뉴스

강원도가 동해안 산불피해를 입은 주민에게 주택복구 비용 9000만원을 지원한다. 정부의 지원대상에서 제외됐던 송이 채취 농가에도 생계비를 지원한다.

도는 3일 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산불피해 지역 복구 계획을 밝혔다.

도가 지난 3월 4~5일 산불이 난 강릉과 동해, 삼척 등 3개 지역에 대해 피해액을 조사한 결과 543억원의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주택 64채가 피해를 입어 이재민 80세대 120명이 발생했고, 농업시설 42개소와 농기계 184대 등이 불에 탔다. 또 산림 6382㏊가 잿더미로 변했다. 이에 따른 복구비는 1120억원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도는 이재민의 주거안정을 위해 2019년 동해안 산불피해 지원 사례를 반영해 주택복구비를 지원한다. 주택복구비는 50㎡ 기준 9000만원을 지원한다. 이는 3.3㎡당 600만원이 필요한 실건축비를 반영한 것이다. 2019년 고성산불 당시 3.3㎡당 500만원을 지원했던 것과 비교해 100만원 늘었다. 건축비 지원금은 정부지원금 1600만원에 산불 성금 5200만원, 국비와 도·시비 등 2200만원을 합해 지급된다.

신속한 행정처리를 위해 시설직 공무원 책임담당제도를 운영한다. 지적측량비와 주택설계·감리비를 각각 100%, 50% 감면한다. 또 주택복구비를 최대 8840만원까지 융자 지원한다.

주택복구 전 긴급주거시설 지원을 신청한 51세대 79명에게는 임시조립주택과 LH임대주택을 지원한다. 임시조립주택 입주를 희망한 28세대 41명은 지난달 말 입주를 마쳤다.

또한 도는 농‧임업인과 소상공인이 생업에 복귀할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해 시행한다. 영농에 차질이 없도록 피해 농가에 보급종 볍씨와 씨감자 등 종자를 무상보급했다. 피해 농가에 임대농기계를 우선 지원하고 144농가 5만9000마리의 가축에 대해 무상진료를 실시했다. 피해 지원대상에서 빠져있던 송이채취 농가에는 2인 가구 기준 82만원의 생계비를 지원한다. 소상공인은 업체당 500만원의 복구비가 지원된다.

생활권 주변 산사태·산림 병해충 등 2차 피해방지를 위해 사방사업 응급복구와 366㏊에 대한 긴급벌채를 추진한다.

유명환 도 재난안전실장은 “복구에 필요한 재원을 신속하게 집행해 피해주민이 조속히 일상생활에 복귀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며 “신속하고 항구적인 재난복구가 이뤄질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춘천=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