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생곡쓰레기매립장 일대 주민과 집단 이주 합의

입력 2022-05-02 16:35
부산시와 생곡폐기물처리시설대책위원회는 2일 생곡마을 주민 집단이주를 위한 합의서를 체결했다. 부산시

부산 강서구 생곡쓰레기매립장 인근 주민들이 2025년까지 다른 지역으로 집단 이주하기로 부산시와 합의했다. 1994년 쓰레기매립장 조성 후 30년 가까이 이어진 갈등이 전격 해소되면서 이 일대를 자원순환타운으로 조성하려는 계획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인다.

부산시는 2일 생곡쓰레기매립장 인근 주민들로 구성된 생곡폐기물처리시설대책위원회와 생곡마을 주민 이주 합의서를 체결했다.

합의서에 따르면 생곡마을 5만9000㎡에 거주하는 주민 162가구 386명은 2025년까지 모두 이주를 완료한다.

시는 내년부터 생곡마을 토지를 783억원에 보상하고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부산 강서구에 조성 중인 명지국제신도시 2단계 주거단지에 가구당 택지 264㎡를 조성원가에 공급하기로 했다.

또 환경개선 지원금 45억원을 제공하고 연간 15억원가량 수익을 내는 재활용 쓰레기 선별장 운영권을 5년간 보장하기로 했다.

부산 생곡쓰레기매립장 일대 전경. 부산시

생곡쓰레기매립장은 74만8000㎡ 규모인 쓰레기매립장과 음식물자원화시설, 하수슬러지 육상 처리시설, 연료화 발전시설(소각장) 등 폐기물 처리시설이 모여 있어 인근 주민들은 그간 악취와 소음 피해를 겪어왔다.

부산시는 하루 636t을 처리하는 생곡쓰레기매립장 매립률이 63%를 기록하고 있어 앞으로 50년 이상 더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추산한다. 여기에 매립장을 생곡마을 쪽으로 확대하면 100년 이상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생곡쓰레기매립장은 생곡 주민들과 합의해 2031년까지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돼 있지만, 정부의 2030년 쓰레기 직매립 금지정책에 따라 쓰레기 매립량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일대를 자원순환타운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박형준 시장은 "부산 전체의 편익을 위해 오랜 기간 불편을 감내해 오신 생곡 주민들께 감사한다"면서 "생곡을 자원순환타운으로 조성해 부산시 폐기물 정책의 기틀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