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가 전기차 공유서비스(카셰어링)를 도입하기로 했다. 평일 낮에는 공공 업무용으로 쓰고, 출퇴근 시간과 휴일에는 도민들이 사용하도록 하는 등 다용도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경남도는 전기차 수요 급증과 충전 기반 부족의 불균형을 극복하기 위해 이달부터 ‘전기차 공유서비스’를 추진한다고 2일 밝혔다.
전기차 공유서비스는 도가 민간 차량 공유업체의 친환경 전기차를 임차해 직원과 도민이 함께 사용하도록 하는 일종의 카셰어링이다. 업무시간(평일 9시~18시)에는 직원들이 업무용으로, 업무시간 외(평일 18시~다음날 9시, 금 18시~월 9시)에는 직원과 도민들이 출퇴근용이나 여가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도는 기아차에서 생산한 전기차 EV6(주행거리 최대 475㎞) 10대의 임차한 데 이어 도청어린이집 인근에 지정주차장을 마련하고 전기 충전기를 설치했다. 민간 업체는 차량의 정기적인 충전과 사후 관리를 지원한다.
차량은 실물 키 없이 앱에 생성된 스마트키 버튼으로 시동을 걸고 이용한 후 지정주차장에서 앱으로 반납 처리를 하면 된다. 이용을 위해서는 민간 모빌리티업체가 만든 스마트폰 앱에 회원가입을 해야 하며 차량 대여료와 보험료, 주행 거리당 이용료(㎞당 50원) 등 요금은 이용자가 등록한 개인카드로 자동 결제된다.
도는 이번 전기차 카셰어링 도입을 계기로 관용차 부족 현상도 일부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또 이 서비스를 이용하며 관용차를 구매하는 것보다 1억5000만원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0t가량의 이산화탄소 감축 효과가 있을 것으로 봤다.
도는 처음으로 도입하는 시책인 만큼 우선 도청 직원을 대상으로 운영을 시작해 이용 시 불편 사항과 문제점을 개선한 후 도민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옥세진 도 도정혁신추진단장은 “전기차 공유서비스 도입을 통해 직원에게는 관용차 확보를 통한 출장 편의를 제공하고, 도민에게는 합리적인 가격의 차량 이용 기회를 제공하게 됐다”면서 “2035년까지 내연기관 퇴출이 공식화한 만큼 이번 사업이 친환경 자동차 보급과 공유경제 활성화를 위한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