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농민혁명이 전국으로 확대되는 출발점이 된 장소인 ‘고창 무장기포지’가 국가 사적이 됐다.
문화재청은 전북 고창군 공음면 구암리 590번지 일대 무장기포지를 국가 사적으로 지정했다고 2일 밝혔다.
무장(茂長)은 지명이며, 기포지(起包址)는 동학농민혁명 포고문을 선포한 집결지를 의미한다.
이 곳은 조선 봉건사회의 부정과 부패 척결·반외세의 기치를 내걸고 민족 자주권을 수호하고자 했던 동학농민혁명의 전국화를 알리는 포고문을 선포한 곳이다. 그동안 전라북도기념물 '고창 무장동학농민혁명 기포지'라는 이름으로 보존돼 왔으나 이번에 문화재청이 이름을 바꿔 7390㎡를 사적으로 지정했다.
동학농민군은 1894년 1월 정읍 고부에서 처음 봉기했다가 신임 군수 설득으로 해산했으나, 농민에 대한 횡포가 극심해지자 그해 3월20일(음력) 무장에서 ‘보국안민(輔國安民)’ 등을 외치며 다시 봉기했다. 무장은 전국적인 농민 봉기의 출발점이 된 역사적 장소로 평가된다.
학계는 무장기포지의 중요성을 인식해 왔으나, 장소를 확정할 만한 유적과 유물이 나오지 않아 고증에 어려움을 겪었다. 1985년부터 다양한 연구가 시작된 뒤 2014∼2020년 개최된 학술대회와 ‘수록(隨錄)’, ‘무장현 채색지도’, ‘무장현도’ 등 고문헌 분석을 통해 구암리 590번지 일대를 기포지로 추정했다. 여러 주민으로 부터 이곳에서 동학농민혁명군이 집결해 훈련했다는 증언을 듣기도 했다.
문화재청은 고창군과 협력해 무장기포지를 체계적으로 보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고창군은 (사)고창동학농민혁명기념사업회와 함께 해마다 4월25일 무장기포기념제를 열고 동학농민혁명의 숭고한 정신과 무장기포의 역사적 의미를 되새겨왔다.
이주철 부군수는 “무장기포지 사적 지정은 동학농민혁명 성지로서 고창의 위상 강화와 군민 자긍심 고취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동학농민혁명 성지화 사업의 시작을 알리는 신호탄으로써 체계적 보존 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고창=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