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네이버 뉴스 서비스에서 ‘좋아요’ ‘화나요’와 같은 공감 스티커를 더 이상 볼 수 없게 됐다. 네이버는 자사 뉴스서비스 개편에 따라 지난달 28일 오후 6시 이후부터 ‘감정 스티커’를 ‘추천 스티커’로 바꿨다. 상당수 누리꾼들은 이 조치에 대해 “‘화나요’ 스티커 내놔라”라며 불만을 나타냈다.
네이버의 뉴스 서비스 개편에 따라 기존의 ‘좋아요’ ‘훈훈해요’ ‘슬퍼요’ ‘화나요’ ‘후속기사원해요’의 다섯 가지 스티커는 ‘쏠쏠정보’ ‘흥미진진’ ‘공감백배’ ‘분석탁월’ ‘후속강추’로 바뀌었다. 또 기존 다섯 가지 스티커 밑에 위치해 있던 ‘이 기사를 메인에 추천합니다’라는 버튼도 사라졌다.
네이버에 따르면 이용자가 읽은 기사가 유익한 정보가 가득하면 ‘쏠쏠정보’, 빠져드는 이야기 거리라면 ‘흥미진진’, 감동적인 이야기라면 ‘공감백배’, 감탄이 절로 나는 통찰력에는 ‘분석탁월’, 뒷이야기가 궁금하다면 ‘후속강추’를 누르면 된다.
이밖에도 네이버는 추천 스티커를 24시간 내 50회까지만 누를 수 있도록 제한했다. 이는 네이버 뉴스 이용자 당 하루 기사 소비 숫자를 고려한 방침이다.
네이버는 이번 개편에 대해 “사용자들이 기사를 보고 감정 표현을 남기는 방법 대신 기사 추천 사유를 선택하는 형태로 새롭게 전환됐다”며 “사용자들의 반응을 기반으로 언론사들이 공들여 작성한 좋은 기사들이 발굴될 수 있도록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어 “좋은 기사들이 더 쉽게 드러날 수 있도록 앞으로도 다양한 관점에서 사용자 피드백 서비스를 개선해가겠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상당수 누리꾼들은 이번 개편에 부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모든 기사에 긍정만 표현할 수 있다는 게 문제다”라거나 “이럴 거면 그냥 기능을 삭제하지” 등의 불만을 표시했다. 일부 누리꾼들은 “이건 언론 통제 아니냐”며 정치적인 이유로 개편한 것 아니냐는 주장을 하기도 했다. ‘화나요’ 감정 스티커를 누를 수 없게 된 누리꾼 일부는 댓글에 ‘화나요’라고 쓰면서 자신의 감정을 표현했다.
앞서 네이버는 2020년 연예 뉴스에서도 기사 추천 체계를 개편했다. 당시 네이버는 부정적인 감정 표현으로 인한 부작용을 해소하겠다는 이유로 ‘훈훈해요’ ‘화나요’ ‘후속기사 원해요’ 스티커를 없애고, ‘응원해요’ ‘축하해요’ ‘기대해요’ ‘놀랐어요’의 스티커 4개를 추가했다.
김민영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