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건축 규제완화라는 호재를 맞을 것으로 보이는 지역을 중심으로 뜨거워지던 매수심리가 꺾였다. 새 정부의 부동산 공약 이행에 대한 불안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새 정부는 여전히 재건축 규제완화 의지를 꺾지 않고 있다. 앞으로 시장이 더 들썩인다는 우려도 나온다.
1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재건축 단지 밀집지역의 매수세가 누그러지기 시작했다. 부동산원의 주간아파트가격 통계에 따르면 4월 4주차(25일 기준)에 경기도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91.0으로 전주(92.5)보다 소폭 하락했다. 이 지수는 100을 기준선으로 이보다 낮으면 집을 사려는 사람보다 팔려는 사람이 많음을 의미한다.
경기도뿐 아니라 인천도 4월 4주차 매매수급지수가 94.0으로 전주(94.5)보다 떨어졌다. 같은 기간 서울 동남권(강남4구)은 96.1, 목동과 여의도동 등이 포함된 서남권은 91.5로 전주 수준을 유지했다. 재건축 관련 규제가 완화하거나 강화할 때마다 집값이 요동치는 지역이다.
시장의 분위기는 대통령선거를 치른 지난 3월과 크게 달라졌다. 3월에는 매매수급지수뿐 아니라 실질적 거래량도 늘었다. 서울시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 3월에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1426건(계약일 기준)으로 올해 들어 처음으로 1000건을 넘었다. 경기도 고양시는 542건으로 2월(274건)의 배에 달했고, 성남시도 272건으로 2월(108건)보다 늘었다.
이들 지역에 쏠리는 기대감은 여전하다. 재건축 규제완화 이행을 둘러싼 실망감을 표출한 이번 주에도 1기 신도시인 성남시 분당구의 매매가격 변동률(부동산원 기준)은 0.05% 상승했다. 고양시 일산동구도 0.04% 뛰었고 일산서구는 0.02% 올랐다. 반면 같은 기간에 경기도 전 지역의 평균 매매가격 변동률은 -0.01%를 기록했다.
업계에서는 당분간 재건축 규제완화 계획이 시장의 불확실성을 키운다고 진단한다. 새 정부는 ‘1기 신도시 재정비 촉진 특별법’의 대상 지역을 기존 1기 신도시(분당·일산·산본·중동·평촌)에서 1기 신도시가 속한 5개 시(성남·고양·군포·부천·안양) 등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택현 기자 alle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