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를 중심으로 이른바 ‘윤핵관’(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핵심 관계자) 인사들에 대한 영입 경쟁이 본격화하는 분위기다.
특히 윤 당선인이 검사 출신인 점에 착안한 기업들은 검찰 출신 인사들을 영입대상 1순위로 삼고 있다.
그러나 영입경쟁은 실제 윤 당선인과 얼마나 가까운지, 의중을 얼마나 파악하고 있는지와 관계없이 윤 당선인과의 작은 연결고리라도 있으면 ‘일단 데려오고 보자’는 식으로 진행되는 모양새다.
새 정부와 코드를 맞추기 위한 ‘보험용 인사영입’인 셈인데, ‘윤핵관’을 자처하는 이들의 영입 효과가 나타날지는 미지수인 상황이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이동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30일 “새 정부가 출범하기도 전부터 대기업들은 조금이라도 연이 닿아있는 검찰 인사들을 전면에 배치하면서 노골적인 정권 줄서기를 시작하고 있다”며 “공정을 최우선 가치로 내세웠던 윤 당선인의 국정철학에 반하는 것 아닌지 짚어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최근 포스코홀딩스는 김영종 법률사무소 호민 대표변호사를 법무팀장(부사장)으로 영입했다. 김 변호사는 윤 당선인과 사법원수원 동기(23기)다.
윤 당선인 측 관계자는 “김 변호사의 포스코 법무팀장 영입은 우리와 전혀 상관없는 일”이라며 “재계가 보험용으로 검찰 출신 인사들을 영입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우리로서도 부담스러운 일”이라고 지적했다.
김 변호사는 2003년 노무현 전 대통령이 취임 한 달을 맞아 가졌던 ‘검사와의 대화’에서 노 전 대통령과 언쟁을 벌인 일로 유명하다. 당시 수원지검 검사였던 김 변호사는 “부산 동부지청장에게 청탁 전화를 하신 적이 있다. 왜 검찰에 전화를 하셨느냐”고 따져 물었다.
노 전 대통령은 “이쯤 되면 막 하자는 거죠?”라며 불쾌감을 감추지 않았다. 당시 민정수석이던 문재인 대통령은 이 장면을 두고 “목불인견이었다”고 표현하며 김 변호사를 비판했었다.
김 변호사는 2017년 검찰을 나온 뒤 변호사로 활동하면서 꾸준히 정치권과의 교류를 이어왔다. 국민의힘 전신인 자유한국당의 윤리위원장과 선거관리위원을 지냈다. 지난해에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야당 측 인사위원회 위원으로 추천되기도 했었다.
그러나 김 변호사가 이번 대선 과정에서 윤 당선인의 캠프에서 공식적으로 활동하지는 않았다. 이를 두고 김 변호사를 ‘윤핵관’으로 보기는 어렵다는 평가도 나오는 편이다.
김 변호사 외에도 검찰 인사들의 기업행은 이어지고 있다. 권익환 전 서울남부지검장은 한화의 사외이사, 조상철 전 서울고검장은 롯데쇼핑 사외이사로 선임됐다. ‘윤 당선인의 멘토’로 불리는 정상명 전 검찰총장도 효성의 사외이사를 맡고 있다.
정현수 박세환 이상헌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