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더불어민주당 경기도지사 후보가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을 겨냥해 연일 집중 공세를 펼치고 있다. 윤 당선인과 지난 대선에서 맞대결을 펼쳤던 이재명 전 경기지사의 정책을 계승하겠다고 밝히는 등 ‘명심’(明心)을 앞세워 윤석열정부와 대립구도을 형성하겠다는 포석으로 읽힌다.
김 후보는 30일 페이스북에 ‘전력시장 민영화’ 선언, 심각한 우려를 표합니다’라는 제목의 글을 올려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의 에너지 정책을 비판하고 나섰다. 그는 “인수위가 발표한 ‘에너지정책’에 대해 많은 국민들께서 ‘한전 민영화’가 아니냐며 우려하고 계신다”며 “경쟁과 시장원칙에 기반해 현재 한전이 독점한 전력 판매구조를 점진적으로 개방하겠다는 것은 사실상 전력시장을 민영화하겠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전력 판매시장 개방, 한전의 민영화는 국민의 실생활에 밀접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충분한 논의와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라며 “인수위가 일방적으로 발표하고 밀어붙일 사안이 아니다. 인수위 발표대로라면 전기 요금 인상도 불가피하다. 윤 당선인의 공약인 ‘4월 전기요금 인상 백지화’를 사실상 뒤집었다”고 언급했다.
이어 “‘상습적 공약 폐기’라는 비판에도 할 말이 없을 정도”라며 “인수위에 촉구한다. 1390만 경기도민과 5200만 국민의 삶과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전력시장 개방에 대한 사회적 합의 절차를 마련하길 바란다”고 적었다.
김 후보는 전날에도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윤 당선인의 노동관을 지적하는 글을 올렸다. 그는 “윤 당선인의 신자유주의에 편향된 노동관은 심각한 우려를 낳는다. ‘아프리카 손발 노동’ 발언이나 ‘주120시간 노동’ 발언에서 드러나듯 새 정부의 노동정책이 노동 존중 사회로 가는 시대적 흐름에 역행할 가능성이 크다”고 비판했다.
그는 지난 28일에도 페이스북에 ‘경제 방향 안 보이는 윤석열 인수위, 피해는 국민 몫입니다’라는 제목의 글을 올려 “집무실 이전 및 관저 쇼핑, 인사 참사 논란만 있지 경제운영을 위한 논의는 실종됐다”며 “윤 당선인 인수위는 정부 출범을 목전에 둔 지금까지도 경제운영을 어떻게 할지 뚜렷한 방향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경제를 오랫동안 봐오고 또 총괄했던 저로서는 답답하기만 하다”고 썼다.
또 같은 날 트위터에서도 안철수 인수위원장이 발표한 소상공인·자영업자 손실 보상 방안을 언급하며 “사실상 공약 폐기, 이젠 놀랍지도 않다. 이런 구태 정치 바꾸자고 정치교체 외쳤다. 약속을 못 지키면 사과하는 게 도리다. 윤 당선인은 직접 국민에게 진심 어린 사과를 하시기 바란다”고 성토했다.
한편 김 후보는 연일 페이스북에 ‘이재명이 만들고 김동연이 꽃피우는 명작동화’라는 제목으로 주요 공약을 올리고 있다.
김 후보는 지난 대선에 새로운물결 후보로 출마했지만, 선거 막판 후보직을 사퇴하고 민주당 대선 후보였던 이 전 지사 지지를 선언했다. 이후 새로운물결과 민주당의 공식 합당 절차를 거쳐 민주당의 경기지사 경선에 참여했다. 외부 인사인 탓에 당내 지지기반이 약했지만, 이 전 지사의 후광 효과에 힘입어 과반 득표로 본선에 직행할 수 있었다는 분석이 나왔다.
송태화 기자 alv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