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공회의소가 새 정부와 함께 민관 합동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컨트롤타워를 만들기로 뜻을 모았다.
대한상의는 29일 서울 세종대로 상의회관에서 안철수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위원장을 만나 ‘ESG 혁신성장 특별좌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좌담회는 경제계가 새 정부의 ESG 정책방향을 듣고 이에 대한 인수위와 경제계 간 의견을 서로 나누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좌담회에는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을 비롯해 이인용 삼성전자 사장, 공영운 현대자동차 사장, 이형희 SK SV위원장 등 10대 기업 대표와 이재근 KB국민은행장 등 금융권 대표들이 참석했다.
안철수 위원장은 이날 행사에서 “처음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지속가능성에 대해 관심을 가진 게 26년 전 안랩을 만들 때”라며 “그동안 만들었던 컴퓨터 바이러스 V3를 만들어 일반인에게 무료 공익적으로 배급하고 기업에는 노력한 대가를 받아서 그 자금으로 운영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상상했다”고 언급했다.
이어 “인수위도 (ESG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면서 “어떤 문제들이 아직도 해결이 안 되는지, 어떻게 하면 도움 될 수 있는지 말씀해주시면 인수위에서 적극 반영해 새 정부에서 성과 낼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최태원 회장은 “사회 문제, 기후, 순환경제 문제들은 비즈니스 모델들이 전환할 필요가 있다. 돈 많이 들고 힘들다고 생각하지만 먼저 나서야 기업 가치가 올라가고, 민관이 같이 풀어나가면서 새로운 기회를 가질 수 있을 것”이라며 “정부와 기업이 원팀으로서 한국 경제의 지속가능성을 희망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날 ESG 현황에 대해 발표에 나선 나석권 사회적가치연구원장은 ESG를 기회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비즈니스모델 변화, 민관협력, 성과기반 인센티브 등 3가지를 제안했다.
또한 정부 차원에서 ESG 지원을 강화하는 민관 합동 기구를 설립한다는 계획도 발표됐다. 이날 참석자들은 ESG 관련 인수위 추진과제를 제시하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민관합동 컨트롤타워를 만드는 데 뜻을 모았다. 상의 소속 기업 대표들은 자유토론을 통해 ESG경영 확산을 위한 세정지원 확대, 글로벌 ESG공시기준 국내 적용시 기업의견 반영, 중소 협력사 ESG 경영지원 확대, 민관합동 상시 소통 채널 구축 등을 인수위에 건의했다.
김지애 기자 am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