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이후 7주 연속 회복세를 보이던 서울 아파트 매수 심리가 소폭 하락했다. 고강도 금리 인상이 이어지면서 매수심리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29일 한국부동산원 조사에 따르면 이번주(25일 조사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90.5로 지난주(91.4)보다 소폭 하락했다. 매매수급지수가 기준선(100)보다 낮을수록 시장에는 집을 사려는 사람보다 팔려는 사람이 더 많다는 의미다.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대선 이후 새 정부의 재건축·세제 등 규제 완화에 대한 기대감으로 지난주까지 7주 연속 상승했으나 이번주 들어 소폭 하락했다. 이에 대해 고강도 대출 규제 속에 지난 14일 추가 금리인상이 매수심리에 일부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부동산 규제 완화에 대해 불분명한 입장을 보이는 것도 원인으로 지목된다.
서북권(은평·서대문·마포구)의 매매수급지수는 지난주 89.1에서 금주 87.0으로 떨어지며 서울 5대 권역중 가장 큰 폭으로 지수가 하락했다. 노원·도봉·강북구 등이 있는 동북권도 지난주 88.7에서 금주 86.8로 떨어졌다. 대통령 집무실 이전으로 집값이 강세인 도심권(용산·종로구 등)도 이번주 90.4로 지난주(91.3)보다 지수가 소폭 하락했다.
다만 재건축 규제완화 기대감과 중대형 위주로 최근 가격이 오르고 있는 동남권(강남4구)의 매매수급지수는 96.1로 지난주와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다. 재건축 단지가 많은 목동·여의도동 등지가 포함된 서남권의 매매수급지수도 기록하며 지난주와 같은 91.5를 기록했다.
경기도와 인천에서도 매매심리가 주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는 지난주 92.5에서 금주 91.0으로 떨어져 3주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고, 인천도 지난주 94.5에서 금주 94.0으로 떨어졌다. 지방도 이번 주 매매수급지수가 95.7을 기록하며 지난주(96.2)보다 하락했고, 전국 지수 역시 지난주 94.4에서 이번 주 93.6으로 떨어졌다.
김지애 기자 am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