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28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코로나19 방역 관계자들과 오찬 간담회를 갖고 이들을 격려했다. 문 대통령은 “K-방역은 우리의 자부심”이라며 “국민들의 높은 시민 의식과 함께 방역진, 의료진의 헌신이 만들어낸 국가적 성취이자 결코 폄훼될 수 없는 자랑스러운 성과”라고 자평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찬 간담회 모두발언에서 “세계가 인정하는 성공 모델로, 대한민국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데 크게 이바지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은 “임기를 마치기 전에 이 자리를 꼭 갖고 싶었다”며 “2년 이상 긴 기간 동안 코로나 대응에 헌신해 주신 모든 분들에게 한없는 감사와 존경의 마음을 드린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코로나의 긴 터널을 헤쳐온 과정이 파노라마처럼 생생하고 코로나 극복을 위해 연대하고 협력했던 순간, 그 장면 하나하나가 눈에 선하다”고 회상했다.
문 대통령은 “모두가 코로나 극복의 영웅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며 감사의 마음을 전했다.
문 대통령은 “얼마 전 세계보건기구는 성공적인 감염병 관리 모델로 우리나라를 꼽았다”며 “효과적인 감염병 대응은 경제적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빠른 경제회복을 이루는 토대가 됐고, 그야말로 방역과 경제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는 밑거름이 됐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물론 아직 코로나가 종식된 것은 아니다”며 “여전히 긴장하며 개인 방역을 잘하고 새로운 변이나 새로운 감염병에 대한 대비도 해나가야 한다”며 “완전한 일상 회복으로 나아가면서 그동안의 성과를 잘 축적하고, 부족한 점을 보완해 방역 선도 국가로 더욱 발전해 나가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간담회를 마친 후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을 통해 “정상 외교를 할 때 여러 분야에서 찬사를 받았지만 가장 큰 찬사를 받은 게 방역”이라며 “코로나 초기 중국 다음으로 대구에서 대유행이 있었는데 우한과 달리 봉쇄 없이 빠르게 검사하고 치료하는 방식으로 코로나 확산세를 잡았다”고 전했다.
아울러 “사회주의 방역 모델에 대응해 민주주의 방역 모델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례가 되었다”며 “외국 정상들은 한국이 마치 준비를 하고 있었던 것처럼 대응했다며 민주적인 방식으로 방역에 성공한 한국을 부러워하며 그 노하우를 배우고 싶어한다”고 말했다.
이날 행사에는 검역, 진단검사, 환자 이송·치료, 백신 접종·생산·개발, 마스크·진단키트·주사기 생산업체 등 각 분야 방역 관련 담당자들과 전해철 행정안전부 장관, 류근혁 보건복지부 2차관, 정은경 질병관리청장, 김강립 식품의약품안전처장 등이 참석했다.
코로나 유행 초반 대구에서 파견 근무를 했던 간호사관학교 졸업생, 도서 지역 백신 접종을 실시한 한산도함 함장, 국내 백신 위탁생산 및 자체 백신 개발을 담당한 SK바이오사이언스 안동공장 공장장, 구급차에서 확진자 산모 출산을 도왔던 인천 서부보상서 구급대원 등이 참석해 생생한 현장 경험을 공유하기도 했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