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 법안 처리를 저지하기 위한 필리버스터(무제한 토론) 첫 타자로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나섰다.
권 원내대표는 본회의가 개의되고 오후 5시11분쯤 본회의장 연단에 올라 “더불어민주당의 검수완박은 정치 공학의 산물”이라며 포문을 열었다.
이어 “지난 5년 동안 무엇을 하다가 대선이 끝난 후에, 정권 말기에 마치 군사작전 하듯 통과를 시키려 하느냐”며 “검찰 길들이기가 실패하니 이제 검찰을 껍데기만 남기겠다는 심보”라고 비판했다.
권 원내대표는 민주당에 호소하며 “여러분들이 동의를 못 한다면 늦지 않다. 검찰 수사권을 뺏지 말라”며 “검찰로 하여금 고위공직자와 정치인의 부정부패, 비위를 제대로 수사하고 파헤치도록 놔둬라. 왜 이렇게 자신이 없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검수완박으로 이익을 보는 자는 누구냐”며 “제가 특정인의 이름을 거명하지는 않겠지만 그건 바로 민주당”이라고 주장했다.
권 원내대표는 “민주당을 실질적으로 운영했던 사람, 문재인정부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쳤던 정치인들, 고위공직자들이 가장 큰 이익을 본다”고 말했다.
“검수완박을 처리하지 않으면 문재인 청와대 사람 20명이 감옥 갈 수 있다는 말도 들었다”는 양향자 무소속 의원의 조선일보 인터뷰 발언도 언급했다.
권 원내대표는 “누가 감옥에 갈 사람인지 말씀해달라. 20명을 국민에게 낱낱이 밝혀야 한다”며 “검찰을 수사기관이 아닌 수사 불능 기관으로 만드는 게 바로 검수완박의 본질이자 검수완박을 강행 처리하려는 이유”라고 지적했다.
앞서 박병석 국회의장 중재안에 합의했다가 번복한 것에 대해서는 “희대의 악법을 몰아붙이는 거대 정당의 폭주 앞에 결단해야만 했다”며 “지연전술을 통해 차악이라 할지라도 반전의 계기를 심어놓아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권 원내대표는 “인기 있는 정치보다 책임 있는 정치를 하겠다는 제 나름의 결단이었다”며 “그러나 중재안은 국민의 동의를 얻지 못했다. 국민이 질책하면 사과해야 한다. 이것이 책임 있는 정치”라고 강조했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