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규제가 쟁점으로 떠올랐던 대통령 선거 이후 신도시 아파트값의 변동률이 급격하게 뛴 것으로 나타났다. 새 정부의 재건축 규제 완화를 둘러싼 기대감이 가격과 시장에 반영된 것이다. 집값 상승으로 부동산 규제 속도 조절을 고민하는 새 정부에는 이런 열기가 부담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27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20대 대통령 선거 전후 아파트 매매 변동률이 가장 많이 변한 곳은 1기 신도시 일대다. 1기 신도시는 올해 대선 전까지 약 2개월(1월 1일~3월 9일) 동안 0.07%의 상승 폭을 보였지만, 대선 이후 약 2개월(3월 10일~4월 22일) 동안 0.26% 오르며 상승 폭이 3배 이상 높아졌다.
1기 신도시를 제외한 수도권의 주요 권역은 대선 전후 아파트 가격에서 변화가 두드러지지 않았다. 대통령 집무실 이전으로 주목받은 서울 용산구는 대선 전 2개월의 상승률이 1.15%였으나, 대선 후 2개월 동안 0.39%에 그쳤다. 그래도 용산은 서울 전역의 집값 상승 폭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비교적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이 기간에 서울(0.25%→0.08%)과 경기도(0.06%→0.03%), 수도권(0.15%→0.05%) 지역의 상승 폭은 오히려 둔화했다.
1기 신도시 가운데 대선 이후 아파트 가격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고양시 일산신도시(0.52%)였다. 이어 경기도 부천시 중동(0.29%), 경기도 성남시 분당(0.26%), 경기도 군포시 산본(0.14%), 경기도 안양시 평촌(0.12%) 순서였다. 가구당 평균가격은 분당 12억5000만원, 평촌 8억7000만원, 일산 6억8000만원, 산본 5억7000만원, 중동 5억6000만원이다.
1기 신도시를 둘러싼 집값 과열은 재건축 규제 완화를 추진하는 데 걸림돌로 작용한다. 규제 완화가 잠시 안정된 집값을 다시 부추길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는 1기 신도시 재건축 규제 완화를 중장기 검토 과제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말 바꾸기 논란’이 일자, 공약대로 규제 완화를 진행하겠다며 수습하기도 했다.
시장에서는 어떤 식으로든 주요 규제를 완화할 것으로 내다본다. 부동산R114 관계자는 “안전진단 절차 강화나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제, 분양가상한제 등은 시장 현실에 맞게 조정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택현 기자 alle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