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동해시가 매장문화재 유존지역 정보 고도화사업을 추진한다. 매장문화재가 존재하는 것으로 인정되는 매장문화재 유존지역에 대한 정보 정확성을 개선하고 문화재의 합리적 보존방안 마련을 위한 것이다.
매장문화재 유존지역은 매장문화재 보호 및 조사에 관한 법률에 따라 각종 개발사업 시 발굴조사 등의 의무가 부과되거나 개발 행위가 제한된다. 그러나 20년이 넘도록 전면적인 수정·갱신이 이뤄지지 않아 정보의 정확성이 부족하다는 우려가 있었다.
고도화 사업은 문화재청에서 국민참여예산으로 지난해부터 시행한 사업이다. 동해시는 강원도 18개 시군 가운데 처음으로 선정돼 도내에서 유일하게 고도화 사업을 추진한다.
시는 국비 등 2억원의 예산을 들여 매장문화재가 다수 분포하는 송정동, 망상동, 북평동에 대한 정밀지표조사를 실시한다. 이를 통해 매장문화재 현황과 유존지역 범위를 더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존 유존지역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최신화할 계획이다. 사업 기간은 1년이다.
업데이트한 정보는 문화재청 문화재 공간정보서비스와 국토교통부 토지e음(이음)을 통해 내년 5월쯤 시민에게 공개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토지를 이용하려는 시민이 문화재 정보를 예측하도록 할 방침이다.
이월출 시 문화체육과장은 “문화재 유존지역에 대한 더욱 정확한 정보가 제공되면 각종 건설공사 등 국민의 토지이용 효율성이 증가할 것”이라며 “전문가의 의견과 검토를 통해 매장문화재 보호 방안도 강구해 매장문화재의 보존과 관리가 용이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동해=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