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결국 멈춰서나…지노위 조정 실패

입력 2022-04-26 01:03 수정 2022-04-26 01:08
서울 시내버스 노사가 임금협상 조정 시한까지 합의안을 도출하는 데 실패한 26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서울지방노동위원회에서 박점곤 서울시버스노동조합 위원장과 조장우 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 이사장이 회의장을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 시내버스 노사가 9시간이 넘는 마라톤 협상에도 임금협상 합의안을 도출하는 데 실패했다. 26일 오전 4시까지 합의가 이뤄지지 못한다면 10년 만에 서울시 시내버스가 멈춰 서게 된다.

서울시버스노조와 사용자 측인 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은 25일 오후 3시부터 서울 영등포구 서울지방노동위원회에서 임금단체협상 2차 조정 회의에 나섰지만, 기한인 26일 0시까지 타협점을 찾지 못했다.

서울지방노동위원회는 “당사자 간 주장의 현격한 차이로 의견 조율이 어려워 조정안을 제시하지 않고, 사건을 종료한다”고 밝혔다. 노조가 실제 파업에 돌입하면 2012년 이후 10년 만이다. 당시에는 파업에 돌입하고 40여분이 지난 뒤 협상이 타결됐다.

노사 양측은 2차 조정 회의에서 최대 쟁점인 임금 인상을 두고 맞섰다. 노조는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해 작년 임금을 동결한 만큼 올해는 8.09%(4호봉 기준) 인상을 요구했다. 반면 사측은 임금 동결을 고수했다.

양측은 회의 초반부터 입장차만 확인하고 타협안을 내놓지 못했고, 회의는 정회와 속개를 반복했다. 사측이 오후 9시쯤 속개된 회의에서 임금인상안을 제시할 수 있다는 의사를 내비쳤으나 양측 간 이견으로 회의는 10분 만에 중단됐다.

양측간 입장 차로 정회가 이어지자 일부 노조원들은 협상장으로 들어와 항의를 하기도 했다.

노조 측은 협상이 난항을 거듭하며 조정 중지 결정이 내려진 직후, 서울시가 적극적으로 문제 해결에 나서 달라고 요구하기도 했다. 다만 서울시는 노사 간 자율적인 교섭인 만큼 직접 개입은 어렵다는 입장이다.

조정은 중지됐지만, 노사 양측은 파업 돌입 시점까지 막판 협상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 관계자는 “아직 공익위원 중심으로 중재를 하고는 있다”며 “협상은 아직 계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시버스노조에 가입된 시내버스(마을버스 제외)는 7235대로 전체 시내버스의 98%에 달한다. 파업이 현실화하면 교통 대란을 피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시는 파업 발생을 대비해 비상수송대책을 수립해놓은 상태다. 우선 지하철은 1일 총 190회를 증편 운행한다. 출퇴근 주요 혼잡시간을 1시간 연장해 열차 투입을 늘리고, 지하철 막차도 종착 시간 기준 다음날 오전 1시로 연장한다.

또 25개 자치구에서는 운행이 중단된 시내버스 노선 중 마을버스가 다니지 않는 지역을 중심으로 각 자치구 주요 거점에서 지하철역까지 연계되도록 무료 셔틀버스(139개 노선, 436대)를 투입한다.

아울러 현재 심야 승차난 완화를 위해 시행하고 있는 개인택시 부제 해제를 전체 시간대로 확대하고, 따릉이 수급 등도 모니터링할 계획이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