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역자동차노동조합(이하 노조)은 26일 예고한 버스 파업을 유보하기로 결정했다. 노조의 버스 파업 유보로 다행히 출근길 ‘버스 대란’은 피하게 됐다.
다만 올해 하반기 진행되는 민영제 버스 노사 협상때 공공버스 노조의 협상도 함께 이뤄질 예정이어서 노사 간 합의가 안될 시 더 큰 규모의 파업이 일어날 가능성도 남아있다.
경기도 관계자는 “버스 노사 간 파업까지는 가지 말자는 분위기가 형성됐었다”며 “협의가 마무리되면서 파업은 조건 없이 취하됐다. 올해 7월 1일 시작될 민영제 버스 노사 협상때 공공버스 노사도 함께 협상을 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한 버스 업체 안에서도 공공버스와 민영제 버스가 혼합돼 있다. 공공버스 노조만 협의하면 민영제는 격차를 따라오지 못한다”면서 “지난해에도 공공버스와 민영제 결국 같이 협상하게 됐다. 올해도 그렇게 진행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경기도 전체 버스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도내 35개 버스업체는 25일 오후 5시부터 11시30분쯤까지 노조와 경기지방노동위원회에서 2차 조정 회의를 진행했다.
협상에 참여한 경기도 버스 업체는 35개 사 소속 버스 7000여대로, 도내 전체 버스의 43% 수준이다. 이들 버스 중 2000여대는 경기도와 서울을 오가는 공공버스다.
도내 전체 공공버스의 98%에 해당하는 규모로, 이들 버스 업체가 파업에 돌입하면 경기도에서 서울을 오가는 주민들의 불편은 클 것으로 예상됐다.
이날 회의에서 노조는 시급 14.4% 인상, 완전 주 5일제 시행 등을 요구했고 사측은 시급 동결, 현 22일 만근제 유지 등으로 맞섰었다.
회의를 통해 노조는 26일 예고한 버스 파업은 유보하고, 올해 7월 1일 진행되는 민영제 버스 노사 협상과 함께 노조의 협상도 함께 이어가기로 했다.
경기도와 사측은 인근 준공영제지역 대비 낮은 임금의 현실화, 주 5일제 가능하도록 운전직 인건비 한도 상향, 심야 운행수당과 2층 버스 운행수당 신설 등이 오는 9월에 결과가 나올 ‘경기도 준공영제 운송원가 재산정 연구용역’에 반영되도록 적극 노력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이날 경기도를 비롯해 서울, 부산, 대구, 전북, 경남, 창원, 제주 등 전국 8개 지역 버스 노조는 26일 총파업을 예고하며 지역별로 사측과 협상을 벌였다.
의정부=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