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한동훈 ‘검수완박 저지’ 발언 굉장히 부적절”

입력 2022-04-25 22:37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4일 청와대 본관에서 손석희 전 JTBC 앵커와 특별 대담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은 더불어민주당이 추진하는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 법안을 반드시 저지하겠다는 한동훈 법무부 장관 후보자의 발언에 대해 “굉장히 부적절하다”고 25일 비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방송된 ‘JTBC 대담, 문재인의 5년’에서 “검찰에 오랫동안 몸을 담았던 분이 검경수사권 분리에 대해 찬성하지 않는다거나 충분한 과정을 거쳐야 된다고 말할 수 있겠지만 ‘반드시 저지하겠다’는 표현을 쓰는 것은 위험하다”고 지적했다.

앞서 한 후보자는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지난 13일 검수완박 입법에 대해 “이런 법안 처리 시도는 반드시 저지돼야 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진행자인 손석희 전 JTBC 앵커가 ‘검수완박으로 고통받을 국민을 위해 한 말 같다’고 언급하자 “편하게 국민을 들먹이면 안 된다”고 일축했다.

이어 “국민을 이야기하려면 정말 많은 고민이 있어야 한다”며 “대한민국의 정의를 어떤 특정한 사람들이 독점할 수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4일 청와대 본관에서 손석희 전 JTBC 앵커와 특별 대담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다만 문 대통령은 검수완박 법안 자체에 대해선 말을 아꼈다.

문 대통령은 “국회 현안이기 때문에 입법화 과정에서 국회가 충분히 (의견을) 모아주길 바라는 마음”이라고 답변을 대신했다.

문 대통령은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추진 중인 청와대 민정수석실 폐지에 대해선 “걱정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민정수석실 나름의 역할이 있다. 얼마나 잘 운용하느냐가 문제”라며 “기대만큼 해내지 못해도 보완해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문 대통령은 2019년 검찰의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수사 배경에 대해 “당시 흐름을 주도한 게 윤 당선인이기 때문에 섣불리 판단하기 어렵다”면서도 “검찰의 수사 방식을 보면 너무 공교로운 것이 많아서 목적이나 의도가 있었다고 볼 수도 있지만 단정하진 않겠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조 전 장관 가족에 대해선 “그분들이 잘못한 게 있어서 잘못에 대한 벌을 받는 것이 맞다 하더라도 그들이 겪었던 고통들은 마음이 아프다”고 언급했다.

한동훈 법무부 장관 후보자가 15일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검찰청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고 있다. 뉴시스

문 대통령은 지난 대선에서 민주당이 패배한 것과 관련해선 “저는 한 번도 링 위에 올라가 본 적이 없다. 제가 (이재명 민주당 전 대선후보를) 우리당 후보라고 입도 뻥끗할 수 없었다”며 “그런데 마치 (나 때문에) 선거를 졌다고 말하는 것은 문제가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대선 당시) 적극적으로 지지활동을 할 수 있고, 또 우리 정부의 성과에 대한 부당한 공격에 대해서는 우리가 얼마든지 맞설 수 있었다면 선거에 도움이 됐을 수 있다”며 “모든 나라가 그런 방식으로 선거를 치르는데 우리만 유독 (대통령의 손발을) 꽁꽁 묶어놓고 치른다”고 지적했다.

문 대통령은 임기 내 벌어진 부동산 폭등을 적극 해명했다.

문 대통령은 “부동산 가격 상승은 전 세계적 현상”이라며 “적어도 우리하고 비슷한 수준의 나라들 가운데서는 우리나라의 부동산 가격 상승폭이 가장 작은 편에 속한다”고 반박했다.

문 대통령은 “부동산 문제는 세계적인 시각까지 포함해서 봐야 된다”면서 “코로나 시기 많은 재정(지원)이 풀리면서 유동성이 아주 풍부해지고 저금리에 대출을 받아 부동산을 사게 되는 ‘영끌’ 때문에 부동산 수요가 늘어났다”고 지적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25일 청와대 녹지원에서 열린 임기 마지막 기자간담회에 참석해 웃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다만 문 대통령은 “공급을 늘리는 정책을 좀 더 일찍, 강력하게 했으면 좋았겠다는 후회는 가지고 있다”고 털어놨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열린 임기 마지막 기자간담회에서 이명박 전 대통령 등에 대한 임기 내 사면 가능성에 대해 유보적인 입장을 내놨다.

문 대통령은 “사면은 사법 정의와 부딪힐 수 있어 사법 정의를 보완하는 차원에서만 행사돼야 한다”며 “사면은 국민의 지지나 공감대가 판단 기준”이라고 강조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