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시내버스 막판협상…결렬땐 첫차부터 중단

입력 2022-04-25 13:36 수정 2022-04-25 16:21
부산 서면~충무 BRT 노선 중 남포 승차장 모습. 부산시

부산 시내·마을버스가 26일 ‘운행 중단’의 갈림길에 섰다. 노조와 사용자 측은 25일 임금 인상 등의 사안을 놓고 막판 협상을 벌일 예정이다.

부산시에 따르면 부산버스노조와 마을버스노조는 사용자 측과 이날 오후 2시와 4시 각각 금정구 부산지방노동위원회에서 조정 회의를 개최한다.

이날 자정까지 양측의 합의안이 마련되지 않을 경우 노조는 26일 총파업에 들어가 첫차부터 운행을 중단할 예정이다.

앞서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 부산버스노조는 파업 찬반 투표에서 전체 조합원 6163명의 86%인 5292명이 참여, 투표 참여자의 97.5%(전체 조합원 중 83.7%)에 해당하는 5163명이 찬성해 파업을 결정했다.

노조와 사용자 측인 부산시내버스운송사업조합은 그동안 단체교섭을 벌여왔으나 합의점에 이르지 못했다. 단체교섭에서 노조는 근무 일수 단축과 임금 8.5% 인상 등을 주장하고 사측은 임금 동결안을 내세웠지만, 지난 22일 협상에서 6% 인상과 2.8% 인상으로 간극을 줄인 것으로 알려졌다.

부산시는 버스 준공영제 시행에 따라 임금 인상안에 따른 적자분을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메꿔야 한다. 사용자 측 입장에서는 노조 측의 협상안을 쉽게 받아들이기 힘든 이유다.

노조 측이 요구하는 6% 인상안을 수용할 경우 시는 버스 업계에 연간 220억원가량을 추가로 지급해야 할 것으로 추산된다.

아울러 마을버스 노조 측도 임금 4% 인상을 요구하고 있다. 사측은 재정난을 이유로 동결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양측 단체교섭 결렬로 부산지방노동위원회 쟁의조정 절차가 진행 중이다. 이날까지 2차례 조정을 했고 이날 마지막 조정을 남겨두고 있다.

조영태 교통국장이 버스파업대비 긴급비상수송대책을 설명하고 있다. 부산시

◇부산시, 버스파업 대비 긴급 수송대책 마련

이에 따라 부산시는 긴급 비상수송대책을 마련해 노사 간 임금협상 결렬 시 곧바로 시행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시는 2007년 버스 준공영제 도입 이후 처음으로 시내버스가 파업에 들어갈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대책에 만전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시는 우선 도시철도, 경전철, 마을버스, 택시 등 시내버스 외의 모든 교통수단을 총동원해 시민수송에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도시철도는 출퇴근 시간을 중심으로 일평균 56회 증회 운행하고, 경전철은 평시 기준 12회 증편한다. 전세버스 327대를 지하철이나 마을버스 등이 없는 61개 노선에 투입, 도시철도와 연계해 운행키로 했다.

마을버스 파업에 대비해 승합차 170대를 확보했다.

또 파업이 계속되는 동안 부제 택시를 해제해 부산지역 개인택시 1만 3831대와 법인택시 1만 1083대 등 총 2만 255대를 모두 운행하기로 했다. 택시 부제 해제는 5610대를 추가로 운행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조영태 교통국장은 설명했다.

아울러 승용차요일제가 일시 해제된다.

조 국장은 “시내버스 노사간 임금협상의 원만한 협의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면서도 “총파업을 시작하면 비상수송대책을 가동해 시민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엔 시내버스 144개 노선 2517대, 마을버스 132개 노선 571대가 운행 중이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