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와 서울을 오가는 공공버스 등을 운영하는 35개 버스업체 노조의 파업이 25일 오후 결정될 전망이다.
경기도 전체 버스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도내 35개 버스업체는 이날 오후 5시부터 경기지방노동위원회에서 사측과 2차 조정 회의를 진행한다.
노조는 시급 14.4% 인상, 완전 주 5일제 시행 등을 요구하고 있다. 협상이 결렬되면 26일 첫차부터 버스 운행이 중단될 가능성이 크다.
앞서 지난 15일 노사 간 1차 조정 회의가 열렸으나 양측이 견해차만 확인하고 마무리됐다.
협상에 참여 중인 도내 버스 업체는 35개 사 소속 버스 7000여대로, 도내 전체 버스의 43% 수준이다.
이들 버스 중 2000여대는 도내 곳곳에서 서울을 오가는 공공버스다. 도내 전체 공공버스의 98%에 해당하는 규모다.
이들 버스 업체가 파업에 돌입하면 경기도에서 서울을 오가는 주민들의 불편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파업 여부는 이르면 25일 오후나 26일 새벽쯤 결정될 전망이다.
경기도는 버스 파업에 대비해 비상수송 대책을 마련했다. 파업에 참여하지 않는 버스업체 소속 버스 1000여대를 각 노선에 투입, 시·군 협조를 얻어 전세버스 600여대를 투입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출퇴근 시간대 택시 운행을 최대한 확대하는 동시에 관용 버스도 가능한 수준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파업에 참여하지 않는 버스를 활용하고, 마을버스 운행 증회·노선 조정 등을 통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겠다”고 말했다.
의정부=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