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월부터 3월까지(1/4분기) 경기도내 공동주택 거래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무려 65.5%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시작된 부동산 거래절벽 현상이 올해까지 이어져 지속되고 있는 것이다.
경기도는 취득신고된 과세자료를 기준으로 분석한 2022년도 1분기 부동산 거래동향 및 현실화율 분석 결과를 25일 공개했다.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지난 1월부터 3월까지 거래된 경기도 부동산의 총거래량은 6만3574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거래량인 12만3202건에 비해 48.4% 감소했다.
특히 주택 거래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공동주택의 거래량은 2만2357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6만4842건)보다 65.5% 줄었다.
개별주택도 2243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4019건) 대비 44.2% 감소했다.
토지와 오피스텔 거래량 역시 각각 3만5617건, 3357건으로 지난해(4만9527건, 4814건) 대비 각각 28.1%, 30.3% 줄었다.
다만, 다행스러운 것은 주택 거래량이 1월을 저점으로 2월부터 다소 반등하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3월에는 거래량이 9736건으로 전월 7873건 대비 23.7% 증가하는 등 연속 상승세를 보였다.
1분기 경기도에서 거래된 5만522건의 부동산 현실화율을 분석한 결과, 도내 공동주택과 개별주택의 연평균 현실화율은 각각 53%와 52%이며, 토지는 47%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과 토지의 현실화율이 전년 평균 대비 2%가량 소폭 감소한 것으로, 지난해 부동산 가격상승 영향이라는 분석이다.
현실화율은 실거래가 대비 공시가격 비율을 말한다.
정부는 올해 현실화율 목표를 공동주택은 71.5%, 개별주택은 58.1%, 토지는 71.6%로 각각 정했다.
도 관계자는 “공시가격의 현실화율을 높여야 한다는 기본 방침에도 불구하고 현실화율은 오히려 낮아지고 있는 실정”이라며 “앞으로 공시가격에 대한 검증기능을 강화해 불합리한 부분을 개선하고, 공시가격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