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는 25일 서울 광화문 프레스센터에서 열리는 코로나 위기극복을 위한 새 정부 혁신제안 컨퍼런스에 참석해 ‘대구시 코로나 위기 극복 모범사례와 새정부 정책제안을 주제로 기조 발표를 한다고 24일 밝혔다.
권영진 대구시장이 직접 참석해 그동안 대구의 코로나19 방역 정책(D-방역)을 바탕으로 한 지역 완결형 감염병 대응체계 구축을 새 정부에 제안한다.
시는 신천지 사태로 불리는 우리나라 코로나19 1차 대유행을 맞아 확산 초반 정부의 명확한 대응책이 부족한 상황에서 세계 각국의 방역정책 모델이 된 드라이브 스루 선별진료소, 경증환자 치료를 위한 생활치료센터, 대규모 선제검사 기법 등을 탄생시켰다.
또 초기 확산 단계부터 민·관 협업체계를 구축해 지역 가용자원을 효율적으로 동원하고 전국 최초 ‘코로나19 극복 범시민대책위원회’를 운영해 시민 참여 방역을 이끌어내는 등 지역사회의 자발적 방역 참여도를 높였다.
이러한 노력으로 대구는 첫 확진자 발생(2020년 2월 18일) 53일 만에 신규 확진자 발생을 0명으로 줄이며 대유행 조기 진화에 성공했다. 미국 ABC뉴스, 영국 BBC, 일본 닛케이 신문 등 전 세계 언론과 스마트시티 엑스포 월드 콩그레스, 세계대도시연합, 세계지방자치단체연합 등 각종 국제기구에 ‘D-방역’이 소개됐다.
대구가 제안하는 지역 완결형 감염병 대응체계는 국가 감염병 위기 상황에 한정된 자원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지역·권역 단위 대응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장거리 이송이 불가능한 최중증 환자를 지역에서 먼저 돌볼 수 있는 진료역량을 확보해 사망률을 최소화하는 것을 핵심이다.
지역 완결형 감염병 대응체계가 구축되면 최중증 환자 뿐만 아니라 혈액 투석, 임산부, 소아, 장애, 중증 요양환자 등 특수진료와 감염병 위기 시 발생할 수 있는 취약계층 공공의료 서비스 공백 문제도 함께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 시의 설명이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