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尹安 공동정부론에 “능력을 최우선하면 원칙 고수 어려워”

입력 2022-04-23 18:20
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가 지난 22일 서울 종로구 한국생산성본부 건물로 출근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가 23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과 안철수 대통령직인수위원장의 공동정부론에 “전문성과 능력을 최우선으로 하면서 국정 공동운영이라는 원칙을 고수하기 어려운 현실이 있다”고 밝혔다.

한 후보자는 이날 국회 인사청문특위에 제출한 서면답변에서 ‘윤 당선인의 1기 내각 인선이 공동정부 약속에 따라 이뤄지지 않았다’는 지적에 이같이 답했다.

윤 당선인이 ‘능력에 따른 인사’라는 대원칙을 앞세움에 따라, 1기 내각 인선에서 안 위원장 측 인사를 무작정 기용할 수 없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한 후보자는 “이견은 당선인과 대화로 해소된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한 후보자는 또 ‘1기 내각에서 여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에 “능력과 전문성을 갖춘 여성이 발굴되면 국무위원을 비롯한 정부 요직에 기용돼 성과를 낼 것으로 기대한다”고 답변했다.

총리의 인사제청권 행사와 관련해서도 “실력과 전문성을 겸비한 인재가 등용될 수 있도록 헌법이 부여한 인사 제청권을 행사하겠다”며 “각 장관의 소관 영역에 대해서도 권한을 확실히 위임함과 동시에 결과에 대한 책임을 묻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국무위원 해임건의권 행사에는 “해임 건의가 필요한 중대한 일이 발생한다면 대통령께 말씀드리겠다”고 밝혔다.

다만 논란이 일고 있는 장관 후보자들에 대한 직접적인 입장 표명은 피했다.

정호영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와 김인철 교육부 장관 후보자 의혹에 대해서는 “청문회 준비가 진행 중인 상황에서 개별 후보자의 적정성 등에 대해 언급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선을 그었다.

강보현 기자 bob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