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이 박원순 전 시장이 추진하던 도시재생사업의 대표 지역인 서울 종로구 세운재정비촉진지구를 찾아 높이 제한, 용적률 등 건축 규제 완화와 공공기여분 녹지 활용을 기반으로 한 도심 고밀도 복합 개발 계획을 내놓았다.
오 시장은 21일 세운상가 세운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전임 시장이 세운상가를 중심으로 해서 종로부터 퇴계로까지 도심을 따로 개발하는 계획을 세웠기 때문에 녹지를 만들 수 있는 여력이 없었다”며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전략’을 발표했다.
이는 건축물 높이 등 기존 건축규제를 완화하고 얻는 공공기여분을 공원과 녹지로 조성해 도심 개발과 동시에 도심 전체를 녹지화하는 계획이다. 오 시장은 “현재 도심은 90m 높이 제한이 있는데 충분히 풀 수 있다. 건폐율을 낮추고 용적률 1000%도 못 줄 이유가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오 시장은 지난해 11월 시의회 시정질문 과정에서 “세운상가 위에 올라가서 종로2가와 청계천을 보면서 분노의 눈물을 흘렸다. 세운재정비촉진지구를 보면 피를 토하고 싶은 심정”이라고 밝힌 세운지구(종묘~퇴계로 일대) 44만㎡를 대상으로 우선 녹지생태도심을 만들겠다고 선언했다.
해당 지역은 30년 이상된 노후 건축물 비율만 94%에 달한다. 오 시장은 “전임 시장이 제가 계획을 세워놓고 나간 것을 이런 상태로 방치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구체적으로 현재 171개 정비구역으로 쪼개진 세운지구 내 개발이 진행되지 않는 147개 구역을 개발이 쉽도록 20개 내외로 재조정한다. 그리고 개발 이뤄지는 구역 내 블럭 별로 1개 이상의 공원을 조성하고, 건물별로 조성되는 공유공간을 이용해 공원과 연결하는 형식을 녹지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현재 세운지구의 중심에 있는 세운상가, 세운청계상가 등은 해당 녹지네트워크의 핵심축인 연트럴 파크형 도심 선형공원으로 조성된다. 서울시는 구역 개발을 원하는 주체에게 우선적으로 공공기여분으로 세운상가 매입 등을 요청할 방침이다. 오 시장은 “세운상가 등은 개별 소유로 된 부분이 있고 특정 회사가 종합적으로 소유하고 있는 부분도 있다”며 “중장기적으로 세운상가 등을 확보해서 단계적으로 녹지축을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박 시장 시절 완성됐던 공중보행로도 철거될 것으로 보인다. 오 시장은 “1000억원 가까이 들여 만든 공중보행로는 대못”이라며 “대못은 뽑아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일단 특정 상가의 소유권을 완전히 확보할 때까지는 세운상가 등을 임시상가나 공유 오피스로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서울시는 올해 하반기 중으로 해당 계획에 대한 공론화 및 의견 수렴을 거쳐서 내년 하반기부터 정비구역별로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오 시장은 최소 5년 이상의 시간이 필요하다면서 “전임 시장처럼 원칙을 뒤집지 않는다면, 앞으로 시장이 이러한 원칙을 지켜주면 푸른 나무숲 등이 어우러진 녹지공간이 만들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