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야음지구 친환경 탄소제로 수소타운으로 조성

입력 2022-04-21 12:52 수정 2022-04-21 12:53

도시공원일몰제의 시행 이후 난개발이 우려됐던 울산 남구 야음지구가 탄소제로 친환경 수소타운으로 개발된다.

울산시는 21일 울산시청에서 한국수력원자력(이하 한수원,) 울산도시공사와 ‘울산 야음지구 그린뉴딜 수소융복합 사업’을 위한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

시에 따르면 이 사업은 야음지구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공급촉진지구 조성 시 인근 공단의 부생수소를 이용해 수소연료전지 발전소, 수소충전소 등 친환경 탄소제로 수소타운을 조성하는 그린뉴딜사업이다.

울산시는 여천오거리~태화강역~현대자동차 제5공장을 잇는 총연장 10㎞ 길이의 수소배관을 매립할 계획인데, 마침 옛 야음근린공원 부지 바로 옆으로 수소배관이 지나간다는 점에 착안한 거다.

협약에 따라 한수원은 1000억원을 투자해 약 1만6528㎡에 10㎿ 규모 수소융복합 시설을 설치하고, 새롭게 건설될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에 난방과 온수 등 열 공급이 가능한 수소연료전지 발전소와 수소충전소 등 수소 인프라를 구축한다.

울산시는 58년만에 공원시설에서 해제된 옛 야음근린공원부지 일대(83만6550㎡)에 4300여 가구 규모 공동주택을 건립하는 계획을 세웠다. 이에 따라 LH는 4220가구의 공동주택개발을 추진하다가 울산시민들의 반대에 부딪혔다.

공해차단 역할을 하는 녹지를 훼손해서는 안 될 뿐 아니라 공해가 심각한 지역에 공동주택을 지어 근로자들을 입주시키는 것도 도덕적으로 문제가 있다는 것이 반대측의 의견이다.

시는 민관협의회와 협의 끝에 생태숲을 조성하고 산업로에 생태터널을 만들어 공해 차단용 녹지벨트를 마련하는 조건부 개발안을 선택했다.

당초 LH가 내놓은 개발계획과 공해차단을 위해 개발해서는 안 된다는 시민단체 등의 반대안을 적절히 섞어서 공동주택으로 개발을 하되 공해차단녹지도 확보하려는 방안이다.

이에 따라 LH는 지난해 12월 말 국토부에 지구계획신청을 하면서 공동주택 규모를 애초 계획한 4220세대에서 3596세대로 줄였다.

공동주택용지는 기존 20만3950㎡에서 16만8280㎡로 3만5670㎡ 축소됐다. 대신 공원녹지 면적이 44만8000㎡에서 51만5000㎡로 6만7000㎡ 넓혔다.

울산시는 공동주택 등 수소타운 개발에 따른 이익이 2000억원, 생태숲 조성에는 1500억원이 필요할 것으로 예측했다.

송철호 울산시장은 “공동주택 개발 이익은 공공 부문으로 회수해 시민동산 상생의 숲 조성에 우선 투입할 방침이다”고 밝혔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