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속 아닌 농지에 화장장 설치, 막대한 잠재적 미래 피해 무책임 행정 규탄한다”
“부발읍 미래 가치 말살하는 화장터, 목숨 걸고 반대한다”
경기 이천주민 80여 명과 여주주민 170여 명 등 250여 명이 지난 19일 정부세종청사 행정안전부 앞에서 이천시립화장장 건립 예정지 변경을 요구하는 시위를 벌였다.
이들 주민들은 “이천시는 화장장 입지를 즉각 변경하라!!” 등 플랭카드 수십여 개를 내걸고 입지 선정 과정에서의 절차 문제와 화장장 입지가 당초보다 15배 가까이 대폭 확대한 배경에 대한 의구심을 집중적으로 거론하며 성토했다.
집회에 참가한 박시선 여주시의회의장(범대위 공동위원장)은 “화장장 반대하느라 3년 동안 농사도 못 지었다. 안타깝고 비통하다”면서 “우리 손으로 반드시 해결하자”고 결연한 의지를 보였다.
“이천시는 화장장 입지 선정 심사 자료를 즉각 공개하고 주민에게 사과하라!”라는 팻말을 든 주민은 “그동안 시청에 수없이 쫓아가 시위하며 자료 공개를 요청했으나 응답이 없다”면서 분통을 터트렸다.
이충열 여주시이·통장연합회장은 “이천시의 거짓 행정에 행안부는 속지 말라”면서 “320명의 이·통장이 하나되어 투쟁하겠다”고 말했다. 국민의힘 여주시장 이대직, 이충우 예비후보들도 내로남불식 이천시 행정을 강하게 비판했다.
이날 이천시립화장장 입지반대 범여주시민대책위원회는 행안부에 ‘경기도 이천 시립화장장 건립 입지(立地)반대 탄원서’를 전달했다.
화장장범대위는 탄원서를 통해 “이천시의 이기적인 자치행정과 이웃 지자체와의 상생을 외면하는 ‘내로남불’의 위선에 분노한다”면서 “행정안전부는 이천시의 독선적인 편익만을 위한 이천시립 화장장 건립에 따른 지방재정 투자심사와 행정절차를 중단하고, 자치행정의 근간을 바로 세워달라”고 청원했다.
지난해 8월 이천시는 부발읍 수정리 산11-1번지 일원을 이천시립화장장 건립 최종후보지로 선정했다.
이에 인근 부발읍 주민들과 능서면 주민들은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해 집회와 시위에 나서는 등 지속적으로 절차 하자 문제를 거론하며 공모에 응모한 다른 곳으로의 변경을 요구하는 시위를 지속적으로 전개했다.
마침내 이러한 상황을 고려해 경기도 투자심사위원회는 지난해 2월 “지역주민 및 인근 주민의 반발 대응 방안, 갈등해소 방안 마련 후 추진”이라는 조건부 승인 후 “명시된 조건을 반드시 이행 후 추진”하라고 이천시에 통보했다.
하지만 이천시는 공원시설 확대를 이유로 화장장 부지면적을 당초 1만1995㎡에서 17만9852㎡로, 사업비도 128억원에서 약 350억원으로 대폭 확대해 행안부 투자심사를 받기에 이르렀다.
이날 주민들은 오전 5시40분쯤 이천시와 여주시에서 버스 5대와 승용차 10여 대 등을 타고 세종종합청사에 오전 8시쯤 도착해 집회를 벌였다.
세종=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