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20일 “코로나가 없는 것처럼 모든 방역 조치를 해제하는 것은 현명하지 못하다”고 밝혔다. 정부가 코로나19 감염병 등급을 하향 조정하는 내용을 담은 새로운 대응계획을 발표한 데 이어 실외 마스크 의무화도 검토에 들어가자 공개적으로 우려를 표명한 것이다.
이 메시지는 부친상 중인 안철수 대통령직 인수위원장이 전한 것이다. 안 위원장은 22일까지 상주로서 빈소를 지킬 예정이다.
신용현 인수위 대변인은 이날 종로구 통의동 브리핑에서 “안 위원장이 전한 것”이라며 “일상 회복을 하면서도 코로나 위험으로부터 고위험군과 취약계층을 보호하려는 조치를 병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코로나 비상대응특위를 포함해 많은 방역 의료 전문가는 방역 조치를 완화가 한꺼번에 이뤄지면서 방역 긴장감이 사회적으로 약화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며 “전문가들이 입을 모아 가을·겨울 재유행을 경고하고 있고, 오미크론 이후 신종 변이의 위험도 여전히 남아 있다. 아직은 코로나19의 완전한 극복을 기대하기 어려운 게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여전히 하루 10만명의 확진자와 하루 100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다”며 “마스크 착용은 모든 감염병 예방 관리의 기본 수칙이자 최종 방어선이다. 국민께서 잘 지키고 있는 마스크 착용에 대해 정부가 섣불리 방역 해제하지 않도록 당부드린다”고 했다.
신 대변인은 “정부가 5월 말에 격리 의무를 완전히 해제한다고 결정한 것은 상당히 성급한 접근”이라며 “차기 정부는 충분한 검토를 거쳐 가능하다고 판단될 때 격리 의무를 해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격리 의무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많은 준비를 해야 한다. 요양병원과 요양시설 등 고위험 시설을 어떻게 보호할지, 지역에서 혼자 사는 취약계층을 어떻게 진단하고 치료를 보장할지, 새로운 변이가 생기면 의료체계를 어떻게 재동원할지 많은 검토와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인수위 코로나특위는 요양 시설로 국한된 코로나 백신 방문 접종을 경로당 등 노인 여가 시설까지 확대해줄 것을 정부에 요청했다”며 “정부로부터 ”‘이번 주부터 즉시 시행하겠다’는 답변이 왔다“고 전했다.
송태화 기자 alv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