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취임 후 새 관저로 서울 한남동 외교부 장관 공관을 유력 후보지로 놓고 검토에 나섰다.
최지현 인수위 수석부대변인은 20일 오후 브리핑에서 “육군참모총장 공관이 불합리한 점이 많은 것으로 확인돼 대안으로 외교장관 공관을 검토하기 시작했다. 다른 대안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인수위는 외교부 장관 공관이 여러 대안 중 가장 합리적인 대안으로 보고 검토에 착수했다.
애초 유력한 후보지로 검토됐었던 한남동 육군참모총장 공관은 경호·의전 문제, 리모델링 기간 등을 고려해 후순위로 밀린 것으로 전해졌다.
육군참모총장 공관이 1975년에 지어져 너무 노후화된 점 등도 고려됐다.
인수위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대안으로 경우의 수는 6개밖에 없다”며 “외교장관 공관은 작년에 리모델링했다. 가장 합리적인 대안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다만 현재 외교부 장관이 공관을 사용 중이다. 윤 당선인이 5월 10일 취임일에 바로 입주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울 전망이라는 게 인수위 측 설명이다.
원일희 인수위 수석부대변인은 “외교장관 공관으로 최종 결정되더라도 5월 10일 취임식에 맞춰 바로 입주하기는 어렵지 않겠느냐는 게 상식적 추론”이라고 말했다.
곧바로 입주를 하지 못할 경우 일정 기간 현 서초동 자택에서 용산 국방부 청사로 출퇴근은 불가피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대통령 관저가 이곳으로 확정될 경우 외교부 장관은 다른 공관으로 이동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외교부 장관 공관에는 해외 고위인사와 주한외교단 등을 위한 외교 행사가 빈번히 열리기 때문에 대체 공간을 찾는 작업도 필요하다.
인수위 관계자는 다음달 20∼21일쯤으로 전망되는 한미정상회담 장소에 대해선 “회담 자체가 확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장소와 관련한 사실관계는 확인해줄 수 있는 게 없다”고 밝혔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