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광주역과 광주송정역 통폐합 논란이 불거져 눈길이 쏠리고 있다. 100년 동안 도심 발전을 가로막아온 철로를 걷어내고 녹색공간을 확보하자는 환경단체 여론몰이에 광주시가 달빛내륙철도에 대비해야 한다며 제동을 걸고 나섰다.
광주역·철길 푸른길 조성 대책위는 20일 “광주역은 현재 하루 9편의 열차가 정차하고 이용객이 600명에 불과해 광주 관문으로서 기능을 상실했다”며 “2015년 4월 광주송정역이 KTX 정차역으로 지정된 이후 쇠퇴한 광주역을 광주송정역으로 단일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대책위는 “두 역을 오가는 셔틀 열차 운행에만 연간 15억원의 혈세가 낭비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통폐합 이후 광주역~광주송정역 철로를 도심 휴식공간인 푸른길 공원으로 조성하자”고 제안했다.
실제 광주역은 KTX ’1 도시 1 정차역’ 정책에 따라 호남고속철도가 개통한 이후 용산역을 오가는 무궁화호·새마을호 열차만 이따금 정차하고 있다. 한때 광주의 대표적 관문 역할을 했지만, 교통·물류의 축이 광주송정역으로 옮겨간 2010년대 이후 극심한 침체기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대책위는 “광주역은 철길로 양분된 운암동과 신안동 주민들의 소음 피해뿐 아니라 도심 발전을 저해하는 대표적 골칫거리로 전락했다”며 시민사회단체는 물론 지방선거 출마자, 주요 정당과 연대해 광주역 폐쇄 운동을 펼치겠다고 덧붙였다.
이 단체는 2002년 광주역~동성중 경전선 폐선에 7.9㎞의 푸른길을 조성한 사례처럼 광주역∼광주송정역 구간도 공원화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하지만 광주시는 광주역과 광주송정역의 통폐합은 전혀 검토할 수 없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광주와 대구를 잇는 달빛고속철도 건설이 지난해 제4차 국가철도망 신규사업으로 반영돼 향후 기능이 강화될 것이라는 반론을 펴고 있다.
여기에 오는 2024년 지하철 2호선이 개통하면 환승역 역할도 해야 하므로 두 역의 통폐합은 수용할 수 없다고 맞서고 있다. 이에 따라 광주역과 광주송정역의 통폐합 문제는 6월 지방선거에서 ‘핫이슈’로 떠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광주역~광주송정역 구간 11.9㎞ 철로는 1922년 개통됐다. 시는 도심을 가로지르는 이 철로가 KTX 개통 이후 몰락하자 KTX 이용객을 위한 광주역~광주송정역 간 셔틀열차를 도입해 광주역 활성화를 꾀하고 있다.
김재식 광주시 교통건설국장은 “사회기반시설(SOC)을 없애기는 쉽지만 복구하려면 엄청난 비용과 시간이 걸린다”며 “오히려 대전, 대구, 부산처럼 2개의 KTX 정차역을 가진 도시가 되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