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시내버스 노동조합이 파업을 결의했다. 대구시는 시내버스 파업이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로 높아지고 있는 일상회복 기대감에 영향을 끼칠까 걱정하고 있다.
대구시는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 대구 시내버스 노동조합의 파업 결의와 관련해 막판까지 협상을 진행할 방침이라고 20일 밝혔다.
시내버스 노조는 지난 18·19일 총파업 찬반 투표를 진행했다. 전체 조합원 3266명 중 313명이 투표에 참여해 2924명(97.05%)이 파업에 찬성했다. 시내버스 노조는 합의점을 찾지 못할 경우 27일 오전 4시부터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할 계획이다. 파업이 진행되면 대구지역 시내버스 업체 26곳 중 25곳(1460대)이 운행을 멈춘다.
시내버스 노조는 사측에 임금 8.5% 인상과 2~3년차 직원 상여금 인상 등 처우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양측은 지난 1월부터 최근까지 8차례 교섭을 진행했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지난 8일 노조가 대구경북지방노동위원회에 노동쟁의 조정을 신청해 1차례 조정회의도 열렸지만 역시 접점을 찾지 못했다. 조정신청 마감은 25일까지다. 비슷한 시기에 전국 시내버스 파업도 예고돼 있어 대구에서 실제 파업이 벌어질 경우 불편이 더 가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대구시는 노조의 요구를 모두 들어줄 수는 없다는 입장이지만 파업 전까지 최대한 협상을 이끌어낼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지역경제가 많이 위축된 상황에서 노조의 요구안은 시에 큰 부담이 된다”며 “파업을 막기 위해 끝까지 협상에 임할 것”이라고 말했다.
노조의 요구가 시에 부담이 되는 것은 시가 버스 준공영제를 시행 중이기 때문이다. 시는 노선 설정 등 버스회사 운영에 일부 참여하는 대신 업체 적자를 보전해준다. 이에 임금인상이 시 재정 부담으로 돌아올 수 있다. 버스요금을 올리는 것도 쉽지 않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시민들이 어려움을 겪은 상황에서 갑자기 요금인상 카드를 꺼내는 것은 무리라는 것이 시의 입장이다.
시는 만약의 사태에도 대비할 계획이다. 구·군 관용버스(9대)와 전세버스(231대) 투입, 출퇴근 시간 도시철도 운행 확대, 택시 부제 일시 해제 등 대응책을 준비 중이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