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희숙 국민의힘 전 의원이 최근 정치권을 중심으로 논란이 제기된 이재명 전 경기도지사의 ‘논문 표절 논란’을 겨냥해 직격탄을 날렸다.
20일 정치권에 따르면 윤 전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인용부실이 바로 표절인데, 표절이 아니라 인용부실이라는 가천대의 우스꽝스러운 재명 수호’라는 제목의 글을 올려 “가천대가 이재명 고문의 석사논문이 표절이 아니라 최종 판정했다”며 “논거는 표절이 주로 인용부실일 뿐, 논문 자체의 독창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는 것이다. 도입부나 배경 설명 등 중요하지 않은 부분에서만 표절이 발생했다는 것”이라고 운을 뗐다.
윤 전 의원은 “과연 그럴까. ‘작정하고 베끼지 않는 이상’ 자신의 생각으로 오롯이 채워지는 게 ‘연구설계’와 ‘논문의 핵심 주장’ 부분”이라면서 “그런데 이재명(2005)은 비핵심 부분에서도 남의 논문을 통으로 베낀 것이 허다하지만, 연구설계 부분과 핵심 주장 부분에서도 아래 사례처럼 남의 글을 홀랑 들어다 베낀 문단이 가득”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독창성이라고는 ‘대담하게 베꼈다’ 말고는 도무지 찾을 수 없다”면서 “가천대가 아예 재심사를 안 했으면 모르되, 재심사하고도 이런 판정을 한 이상, 대학의 신뢰가 폭삭 내려앉았다. 회복의 의지가 있다면, 조사위원들의 논문들부터 조사하고 조사 과정의 적절성을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앞서 가천대는 전날 이 전 지사의 석사 학위 논문에 대해 표절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판정을 내렸다. 2013년부터 제기돼 온 이 전 지사의 논문 표절 논란에 대해 가천대 측은 2016년 ‘학칙에 정한 5년 시효가 지나 부정 여부를 심사할 대상이 아니다’라는 이유로 검증을 거부한 바 있다.
이후 교육부는 지난해 11월 이 전 지사의 석사 학위 논문에 관한 검증을 가천대 측에 요구했고, 가천대는 1월 7일부터 지난 7일까지 석 달간 검증 작업을 진행했다.
가천대는 표절 분석 프로그램을 통한 1차 검증으로 카피킬러 24%, 턴잇인 4% 등의 표절률을 도출, 표절률이 높은 카피킬러를 기준으로 삼았다. 이어 표절 의심 문장 229개에 대해 정성평가 한 결과 표절률은 2.09∼7.12%(평균 4.02%)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가천대 측은 △논문의 핵심적인 결과 부분에 대한 표절 여부 △동일한 단어 나열 전후로 연결되는 사상이 기존과 차별화되는지 여부 △논문 자체의 독창성이 훼손됐는지 여부 등을 조사했고, 표절은 주로 인용부실로 인해 발생한 것이 대부분이라고 설명했다.
가천대 관계자는 “현재의 표절 기준으로는 논란 대상이 될 수 있으나, 핵심 부분 표절이 아닌 도입부나 배경 설명에서의 인용부실이 대부분이었다”면서 “논문이 나온 2005년은 교육부 및 학계의 연구윤리지침 제정 이전으로, 부정행위에 대한 기준이 모호했던 점 등을 고려할 때 (이 전 지사의 석사 학위 논문은) 표절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최종 판정했다”고 전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