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가 일본의 대표적 역사 왜곡 교과서 출판업체인 ‘도쿄서적’에 디지털 기술을 수출한 공적으로 국무총리 표창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도쿄서적은 일본 중·고교 교과서에 독도를 일본의 고유 영토로 기술하고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감추는 등 역사를 꾸준히 왜곡해온 일본 최대 교과서 제작업체다.
장관 후보자가 역사 왜곡에 앞선 일본 업체와 협약을 맺었다는 점에서 이 후보자에 대한 적격성 논란이 일 전망이다.
19일 신영대 더불어민주당 의원실과 이 후보자의 인사청문요청안에 따르면 이 후보자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 업체 ‘(주)테르텐’의 창업자로서 도쿄서적 등에 기술을 수출한 공로를 인정받아 2009년 국무총리 표창을 받았다.
테르텐은 이 후보자가 2000년 설립한 디지털 저작권 관리 및 전자 보안 업체다. 이 후보자는 이 회사를 설립 후 10년 간 부사장으로 근무했고 2020년 5월까지 대표이사로 활동했다.
테르텐은 이 후보자가 부사장으로 있던 2008년 웹에서 저작권을 보호해주는 보안 기술을 도쿄서적에 수출하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수출 교류가 확대되자 해당 성과를 인정받아 이 후보자가 표창을 받은 것이다.
문제는 도쿄서적은 일본 교과서 시장을 50% 이상 점유한 가장 큰 출판 업체이자, 대표적인 역사 왜곡 교과서 제작 업체라는 것이다.
도쿄서적은 2000년대부터 정치·경제 교과서에 ‘독도는 일본 고유의 영토’, ‘한국이 다케시마를 점령하고 있다’고 기술하며 일본의 독도 영유권을 주장해 논란이 된 바 있다.
2016년에는 “위안부로 끌려갔다”는 표현을 “위안부로 전지에 보내졌다”고 고치는 등 아베 신조 정권의 입맛에 맞게 내용을 수정해 비판을 받았었다. 최근에도 교과서에서 ‘종군위안부’ 대신 ‘위안부’ 용어를 사용해 강제 동원에 대한 일본 정부의 책임을 교묘하게 은폐했다는 지적을 받았다.
이 후보자와 도쿄서적의 인연은 표창 수여 이후에도 계속됐다. 테르텐은 이 후보자가 대표이사로 있던 2011년 2월 도쿄서적과 ‘디지털교과서 전자 서비스 계약’을 본격 체결했다. 테르텐 홈페이지를 보면 이 회사는 현재까지도 테르텐과의 계약을 유지하고 있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인 신 의원은 “1세대 벤처기업가로 주목받은 이 후보자가 사실은 ‘다케시마’ ‘위안부 부정’ 등 허위 논리의 저작권 보호에 앞장서 경력을 쌓고 시드머니도 불린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역사 왜곡 디지털교과서를 만드는 데 일조한 공적으로 대한민국의 대표 여성 기업인, 국회의원까지 한 후보자가 과연 국무위원 자격이 있는지 의심스럽다”고 비판했다.
이 후보자는 이와 관련된 입장을 묻는 국민일보의 전화, 문자에 답하지 않았다. 중소벤처기업부 대변인실은 “추후 답변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안규영 기자 ky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