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차별철폐의 날을 하루 앞두고 관련 단체가 장애인권리예산 마련을 촉구하며 출근길 하차 시위를 벌였다.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는 대통령 인수위원회에 요구한 답변을 받지 못할 경우 오는 21일부터 출근길 지하철 탑승 시위 재개를 예고했다.
전장연은 19일 오전 서울 지하철 3호선 경복궁역 승강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인수위가 20일까지 전장연의 요구에 회신하지 않는다면 장애인차별철폐의 날을 기점으로 오는 21일 오전 7시 3호선 경복궁역과 2호선 시청역 일대에서 지하철 행동을 재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인수위는 지난달 29일 전장연과 면담을 통해 출근길 지하철 시위 중단을 요청했다. 전장연은 이에 화답해 시위를 중단하는 대신 인수위에 ‘23년 장애인권리예산과 장애인권리·민생4대법안’을 제출해 20일까지 회신해 달라고 요구했다.
박경석 전장연 대표는 기자회견에서 “장애인 이동권 예산은 장애인 예산이 아니라 모든 시민의 예산이고 노인과 교통약자를 위한 예산”이라며 “우리는 (예산을) 지금 즉시 100% 반영해달라는 것이 아니라 지금까지 검토한 것에 대해 답을 달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기자회견을 마친 전장연은 지하철에 탑승해 시위를 이어나갔다. 박 대표가 지하철에서 시위 취지를 설명하자 지하철 내에선 “가면서 해야지, 출근하는 사람 있잖아”하는 볼멘소리가 터져 나오기도 했다.
박 대표는 동대입구역까지 이동해 하차하면서 지하철 문에 휠체어 바퀴를 끼우고 10여 분간 시위를 벌였다. 박 대표는 휠체어에 탄 채 “시민 여러분 죄송하지만 이 열차는 10분간 이동할 수 없으니 양해를 바란다”며 “우리는 이동권을 얻고 싶을 뿐이다”라고 시민들에게 호소했다.
한편 전장연이 인수위에 요구한 ‘23년 장애인권리예산과 장애인권리·민생4대법안’은 ▲장애인 평생교육 ▲특별교통수단(장애인 콜택시) 운영비 국고 지원 ▲하루 24시간 활동 지원 ▲탈시설 권리예산 788억원 보장과 장애인권리보장법, 장애인탈시설지원법, 장애인평생교육법, 특수교육법 4대 법안 개정을 골자로 한다.
서민철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