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후보자가 인플레이션 국면을 최소 1~2년 뒤까지로 예상했다. 그는 인기에 연연하지 않고 물가 상승 억제에 전념할 각오를 밝혔다.
이 후보자는 19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인사청문회에 출석, 인플레이션 전망에 대한 질의를 받고 “향후 물가 상승 국면이 적어도 1~2년은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된다. 소비자물가지수에 주거비 상승분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아 주민의 고통이 커졌다”고 진단하면서 “물가나 경제성장률의 예측 비율을 높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한다”고 답했다.
정부의 추가경정예산(추경)이 고물가를 부추길 우려에 대해 이 후보자는 “지금 추경은 소상공인·자영업자를 지원하는 미시적 정책이기 때문에 불가피한 선별적 보상이라고 생각한다”며 “다만 그 양이 얼마가 될지 아직 정부로부터 듣지 못했다. 총량이 커 거시적으로 물가에 영향을 주게 되면 당연히 한은도 관여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은은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보다 먼저 기준 금리를 인상해왔다. 코로나 불황을 극복하기 위해 각국 정부에서 시장으로 풀린 유동성을 회수하기 전에 선제적으로 시행한 조치다. 연준은 지난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처음으로 금리를 올려 긴축 국면에 들어갔다. 다음달에는 50bp 금리 인상의 ‘빅스텝’을 밟을 것으로 보인다.
연준은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빠른 긴축에 나서고 있다. 물가를 잡아야 경기 둔화에 대응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이 후보자는 “경기 속도가 크게 둔화하면 그때그때 조율하겠지만 물가 상승 심리(기대인플레이션)가 올라가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자신의) 인기가 없어라도 신호를 줘 물가가 더 크게 오르지 않도록 전념하겠다”고 말했다.
물가 상승 배경에 대해 이 후보자는 “인플레이션은 공급 쪽 요인이 작용하고, 서플라이 체인(공급망) 문제도 있다. 수요 측면에서는 재정 지출이 많이 늘었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끝나면 그동안 못 쓴 소비가 늘어 인플레이션이 올라갈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