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완박’ 대신 특별법 대안에··· 박범계 “내부 통제가 더 중요”

입력 2022-04-19 15:00
박범계 법무부 장관이 지난 18일 오전 경기도 과천 정부과천청사로 출근하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오수 검찰총장이 19일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 입법 대신 특별법 제정 등을 대안으로 제시한 것을 두고, 박범계 법무부 장관이 “그런 외부 통제보다 더 중요한 것은 검찰 내부의 내부 통제”라고 말했다.

박 장관은 이날 정부과천청사에서 취재진과 만나 김 총장이 대안으로 제시한 검찰 자체 개혁안 내용에 대한 의견을 묻는 질문에 “(김 총장이 오전에) ‘예를 들어서’ 하면서 다 말씀하셨던데, 국회 정보위 (비공개 현안질의) 등등을 말씀하신 거 아니겠느냐”며 이같이 말했다.

박 장관은 ‘검찰 내부 통제’의 구체적 의미에 대해선 “다음에 하자”며 말을 아꼈다. 김 총장이 검찰의 경찰에 대한 수사지휘권 부활시 수사권을 내놓는 방안을 논의할 수 있다고 밝힌데 대해선 “노 코멘트”라고 했다.

앞서 김 총장은 이날 출근길에서 기자들에게 “‘검수완박’ 법안보다 국회의 권한을 통해 검찰 수사의 공정성, 중립성 확보를 위한 특별법을 제정하는 방법도 있다”며 “이것을 논의하기 위한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내 형사사법제도개선특별위원회가 있다면 저희도 참여할 생각이 있다”고 말했다.

또 “수사 자체의 공정성이 문제된다면 검찰총장, 고검장, 지검장 등을 국회에 출석시켜 정보위원회처럼 비공개를 전제로 충분히 현안 질의하고 답변도 듣고, 자료제출도 하는 방법이 있을 것”이라며 “검찰개혁이 필요하다면 수사지휘는 부활하고 수사권을 없애는 것도 논의해볼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김 총장은 지난 18일 문재인 대통령과 70여분간 면담을 가졌다. 문 대통령은 김 총장에게 “국민들이 검찰의 수사 능력을 신뢰하는 것은 맞지만, 수사의 공정성을 의심하는 것도 엄연한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박성영 기자 ps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