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상황이 안정세를 이어가고 있다. 신규 확진자는 지난 2월 이후 처음 5만명 아래로 떨어졌다. 전문가들은 ‘포스트 오미크론’ 연착륙을 위해선 그간 다중이용시설에 가려 덜 주목받았던 직장·사업장의 근무환경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한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8일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4만7743명이라고 밝혔다. 이는 지난 2월 8일 3만6713명을 기록한 뒤 69일 만에 가장 적은 수다. 감소세는 중증화 관련 지표에서도 관측됐다. 이날 신규 사망자는 132명, 위중증 환자는 850명이었다.
다만 2~3주 뒤 나타날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에 따른 여파는 미지수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거리두기 해제가 코로나19의 종식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며 “개인의 방역수칙 준수가 중요해진 시기”라고 강조했다.
우려의 목소리도 여전하다. 따뜻해진 날씨, 완화된 방역과 맞물려 모임·접촉이 늘고 있어서다. 구글의 지역사회 이동성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3일 기준 미국 영국 스페인 등지의 소매·여가시설 이용은 2020년 초보다 10%가량 줄어든 수준을 보였지만, 한국은 당시 수준을 거의 회복했다.
일터로 눈을 돌리면 차이는 더 크다. 2020년 초 대비 직장을 방문한 사람의 수가 영국에선 25%, 미국과 캐나다 16%, 독일 11% 감소했으나 한국에선 오히려 4% 늘었다.
전문가들은 근로자들이 오랜 시간 실내에서 근접해 지낼 수밖에 없는 직장·사업장이 관건이라고 말한다. 작업 환경을 개선하기 어렵다면 아플 때 쉴 수 있어야 하는데, 그마저도 중소기업과 영세 사업장에선 쉽지 않다는 취지다. 당장 법정 감염병 등급 하향 이후 확진자 격리가 의무가 아닌 권고사항으로 전환되면 근로자들의 피해가 속출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최근 시범사업 공모를 진행한 상병수당 제도는 이와 큰 틀에서 맞닿은 논의다. 정부는 앞서 1단계 상병수당 시범사업에 지원한 63개 시군구 중 서울 종로구, 경기도 부천시 등 6곳을 선정했다고 지난 11일 밝혔다. 이들 지역에선 오는 7월부터 1년간 질병·부상으로 일을 하기 어려운 관내 거주 취업자에게 일 4만3960원이 지급된다.
그러나 실제 제도화까진 최소 수년이 걸릴 전망이다. 코로나19처럼 대다수 환자가 금방 업무에 복귀할 수 있는 질환에 최적화된 제도도 아니다. 근무할 수 없는 기간이 길거나 입원치료를 받아야 하는 등 제약이 있기 때문이다. 장영욱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격리가 자율로 바뀐 뒤에도 기존에 지급되던 생활지원금이나 수당 등을 한동안 유지하는 게 방법”이라고 말했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