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30년 이상 아파트 정비방안 내년까지 마련

입력 2022-04-18 16:29

대전시가 30년 이상인 공동주택 정비방안을 내년까지 마련한다고 18일 밝혔다.

주택보급률 통계에 따르면 대전시민의 약 60%가 아파트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파트 거주자의 약 70%는 15년 이상 된 아파트에, 16.8%는 30년 이상 된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었다.

특히 앞으로 5년 안에 30년 이상 노후 아파트가 전체 아파트의 약 40%까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안전성·도시미관 저해 등의 문제가 발생할 전망이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부 단지를 중심으로 리모델링이나 재건축 추진위원회를 자발적으로 구성하고 있지만, 대전시 조례나 지구단위계획 등에는 용적률·층수 등에 제한이 있어 현실적 정비가 어려운 실정이다. 현행 법상 3종 일반주거지역의 용적률은 300%이하인 반면 대전시 조례는 250% 이하로 규정된 탓이다.

시는 지난해 4월 공동주택리모델링 지원 조례를 제정하고 15년 이상 경과된 전체 아파트에 대한 리모렐링 기본계획용역을 진행 중이다. 또 대전세종연구원을 통해 과거 개발된 지역의 규모·밀도·건축물용도 등을 확인하는 한편 2030년 대전도시관리계획 변경도 함께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적정 용적률, 층수 등 노후 공동주택 정비기준을 내년 하반기까지 마련하고 30년 경과 택지개발지구 도시관리방안에 반영할 예정이다.

재건축·리모델링이 사업 착수에서 완공까지 5~10년 정도 걸리는 만큼 각종 사업에 영향이 최소화 되도록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노후화되는 지역을 대상으로 이제 새로운 정비가 필요한 시점”이라며 “당초 목표한 2030년까지 13만호 주택공급 목표도 차질 없이 달성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