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가 시민과 함께하는 태양광 발전사업에 나선다. 민관 공동의 태양광 발전을 통한 녹색 뉴딜 정책이다.
광주시는 2045 탄소 중립과 RE100(100% 재생에너지 조달)자립 도시 실현을 위해 지난해 2월 광주도시공사와 신재생에너지 보급확대 협약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이에 따라 광주 외곽을 도는 제2순환도로와 공공기관 부지 등에서 태양광 사업을 벌이고 있다.
시는 우선 월드컵경기장 주차장에 2.5㎿ 규모의 태양광 발전소를 설치 중이다.
시는 이를 위해 지난 2월 월드컵경기장 주차장 반경 1㎞ 이내 8개 행정동 주민을 대상으로 한 설명회를 열고 주민참여형 사업에 대한 공감대를 넓혔다. 태양광 발전소 법인에 대한 출자 등 시민 참여도가 높아지면 신재생 에너지 공급인증서(REC)를 가산 발급받을 수 있어 태양광 발전 수익성이 더 좋아진다.
시와 도시공사는 이뿐 아니라 광주교통문화연수원과 한국전기연구원 광주분원 주차장 등에 태양광 발전설비를 설치하기 위한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공동주택 옥상과 공공기관, 공유재산 유휴부지 등도 태양광 발전을 위해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시민이 에너지협동조합에 참여해 직접 투자하고 이익을 공유하는 시민주도형 햇빛발전소 사업도 확대된다.
지난해 1.7㎿ 규모의 태양광 발전소 5곳에 예산 지원을 결정한 시는 현재 광주전자공고에 599㎾, 진곡산단 주차장에 518㎾ 규모 등 2곳의 시민햇빛발전소가 준공·가동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자동차 공업사와 풍영체육시설 공영주차장, 친환경자동차 부품 클러스터 등 나머지 3곳은 공사가 진행 중이다.
지난 2월 광주전자공고 건물 6개 동에 옥상에서 문을 연 태양광 발전소는 광주 최초의 민관협력 모델이다. 학교 측은 주민들이 주도하는 태양광 시설을 위해 옥상을 빌려주고 매년 1200만 원의 임대료를 받아 학교발전 기금으로 활용한다.
이와 별도로 내년부터 기후위기 대응 환경교육 지원비 명목으로 600만 원을 지원받게 된다.
광주전자공고 태양광 발전소는 지난 2020년 10월 시민 조합원 380여 명이 참여한 빛고을시민햇빛발전사회적협동조합이 운영 주체다.
시는 올해도 한 곳당 총공사비 50% 범위에서 1㎾당 76만8000원의 태양광 설치비용을 집중 지원할 방침이다. 2억원을 상한선으로 희망자의 지역사회 공헌도, 사업대상지 적정성, 조합원 참여도 등 사업제안서 평가 후 지원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광주에는 2020년 말 기준 6만7000여 가구가 연산 사용할 수 있는 223㎿ 태양광 발전시설이 도심 곳곳에 구축돼 있다. 시는 이들 태양광 발전시설이 연간 13만t의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등 2045 탄소 중립 도시실현에 도움을 주고 있다고 밝혔다.
시는 대규모 아파트단지 옥상과 산단·공단 입주기업, 제2 순환도로 37.7㎞ 구간 곳곳의 방음 터널 지붕, 공공 유휴부지 46곳 등도 태양광 신재생 에너지 생산공간으로 전환해 2045년까지 시민참여·주도형 햇빛발전소 145곳을 설립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지난해 10월 대한민국 솔라리그에서 최우수상인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을 받는 등 전국 광역단체 가운데 태양광 발전사업에 솔선수범하고 있다.
시는 2019년 기준 5.5%에 불과한 전력 자급률을 시민·협동조합·환경단체가 주도하는 햇빛발전소 구축을 통해 2045년까지 최대한으로 끌어올려 탄소 중립 자립 도시를 실현한다는 방침이다.
권대혁 광주시 에너지산업과장은 “시민참여 태양광 사업은 기후위기 대응은 물론 발전사업 이익을 공유하는 일거양득의 효과를 거둔다”며 “내가 쓰는 전기를 내가 만들어 쓰는 시민주도 녹색 뉴딜 정책을 꾸준히 펼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