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대통령실 수석비서관 인선을 신중하게 진행하고 있다. 대통령실 소속 참모들은 국회 인사청문회 절차를 거치지 않아 급하게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판단 때문이다.
윤 당선인은 또 문재인정부에서 부활했던 청와대 정책실장직을 폐지하기로 확정했다. ‘대통령실 슬림화’ 기조 속에 기존 8개 수석실 체제도 5개 수석실로 축소 개편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윤 당선인 측 관계자는 “대통령실 참모들 인선을 마무리하는 데는 시간이 조금 걸릴 것”이라며 “일부 수석들은 인선이 끝났으나, 다른 수석들의 인사가 완료되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4월 마지막 주 초에 대통령실 참모들 인선이 발표될 가능성이 크다”면서 “안철수 대통령직인수위원장 측과 대통령실 인선에 관해서도 일부 논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실제 윤 당선인은 지난 13일 김대기 비서실장 인선 사실을 발표한 이후 대통령실과 관련해서는 추가 인선 결과를 내놓지 않고 있다.
다만 국가안보실장에는 김성한 전 외교부 2차관, 정무수석에는 이진복 전 의원, 경제수석에는 김소영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가 각각 내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차관은 윤 당선인의 ‘외교안보 과외교사’로 알려졌다. 이진복 전 의원은 3선 의원 출신이다. 김 교수는 현재 인수위 경제1분과 위원이다.
‘대통령실 슬림화’ 기조에 따라 정책실장직은 폐지될 예정이다. 기존의 민정수석과 일자리수석·인사수석도 사라질 전망이다. 특히 민정수석 폐지는 윤 당선인의 대선 공약이다. 이렇게 되면 정무·경제·국민소통·사회·시민사회 등 5개 수석실만 남게 된다.
장제원 당선인 비서실장은 이날 통의동 인수위 사무실 앞에서 기자들과 만나 “(대통령실은) 좀 슬림하겠다는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며 “정책실장은 경제수석이라든지, 정책 관련된 수석들이 있기 때문에 폐지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인수위 측 관계자는 “대통령실 인사 업무 책임자를 중량급으로 가느냐, 실무적으로 따지느냐에 따라 인사수석 직위를 기획관으로 바꾸는 등 이름이 달라질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