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오수 검찰총장이 17일 더불어민주당의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 입법 추진에 반대하며 사직서를 제출하자 민주당과 국민의힘의 반응이 엇갈렸다.
신현영 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검찰 개혁 과정에서 검찰이 본분에 충실하도록 조직을 관리해야 할 총장이 이렇게 물러나는 것은 책임 있는 자세가 아니다”라며 “임기가 보장된 총장이 중도에 사표를 제출한 것은 우리 사회나 검찰에게 모두 불행한 일”이라고 비판했다.
또 “검찰 개혁이 진행되는 상황에 책임을 통감한다면 업무에 한 치의 소홀함이 없기를 바란다고 당부할 것이 아니라 그런 방향에서 검찰을 관리했어야 마땅하다”며 “검찰 정상화 입법에 대한 정치적 반발로 읽힐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도 옳지 않은 결정”이라고 지적했다.
반면 김형동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논평에서 “정권 수사를 했다는 이유로 온갖 억압 속에서 물러났던 윤석열 당선인에 이어 이쯤 되면 ‘문재인 정권의 검찰총장 잔혹사’라고 부를 만하다”고 평가했다. 그는 “악을 소탕해야 할 검찰을 되레 악으로 몰아가며 입맛대로 움직이지 않으면 인사 폭거와 의회 폭거도 서슴지 않으며 길들이려 한 문(재인)정권과 민주당이 자초한 결과”라며 “사실상 검찰 해체나 다름없는 민주당의 ‘검수완박’ 앞에서 결국 김오수 검찰총장은 직을 던지는 길을 선택했다”고 했다.
이어 “이 정권이 임명한 검찰총장이 왜 반복적으로 직을 내려놓았는지 그 누구보다 민주당이 잘 알고 있을 것”이라며 “자신들의 비위를 덮기 위해 온갖 만행을 저지르고도 반성과 사과는커녕 마지막까지도 민생은 외면한 채 법치주의마저 흔드는 이 정권과 민주당을 국민과 역사가 평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박범계 법무부 장관은 김 총장이 사의를 표명하자 “매우 착잡하다”는 심경을 밝혔다. 한동훈 법무부 장관 후보자는 “형사사법 업무를 책임지는 공직자의 충정으로 이해한다”고 말했다. 만약 김 총장의 사표가 수리될 경우, 그는 지난해 3월 ‘검수완박’에 반발해 사퇴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에 이어 문재인 정부에서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중도사퇴한 두 번째 검찰총장이 된다.
박성영 기자 ps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