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시민 안전을 위협하는 7개 분야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기로 하고 2030년까지 5조140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고 17일 밝혔다.
시는 코로나19 엔데믹(풍토병) 시대를 맞아 재난, 화재, 환경·해양, 교통사고, 범죄, 산업재해, 자살·감염병 등 7개 분야 23개 중점 과제를 추진해 2030년까지 안전사고와 사망자 수를 지금의 절반 이하로 줄인다는 것이 목표다.
먼저 119 출동 환경을 개선해 화재 현장 7분 이내 도착률을 90% 이상으로 끌어올린다. 취약계층 20만 가구에 화재 안전시설을 보급하고 2025년까지 소방서 3곳을 신설해 화재 사각지대를 해소한다. 또 소방 헬기와 장비, 산불 감시 CCTV,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상황 관제시스템 등을 마련한다.
산사태 취약지 335곳과 시내 해수욕장 전 구간에 지능형 CCTV 등 방재 인프라를 도입하고, 집중호우와 태풍에 대비해 인명사고 제로(ZERO)를 구현한다.
모든 시민이 안심하고 걸을 수 있는 도시 환경을 조성해 2030년까지 교통사고 사망자 수를 절반으로 줄인다는 계획이다.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시행에 따라 체계적인 안전 보건 시스템을 구축해 산업재해를 막는다.
시는 코로나19로 지친 시민들을 위로하기 위해 온오프라인 상담 서비스를 확대한다. 2030년까지 마음건강관리 전문 인력 150명을 확충해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고, 2026년까지 서부산의료원과 권역별 지역거점병원을 건립한다.
또, 기후 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신기술 개발을 추진해 고부가가치 재난안전 사업도 육성한다. 이에 시는 내년까지 재난안전산업지원센터를 구축하기로 했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안전 인프라와 제도를 개선하고 안전 의식 향상을 위한 정책도 함께 추진할 계획”이라며 “가정, 학교, 일터에서 모두가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