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두기 해제로 소비 회복 기대 품지만…고물가·저성장 ‘비상’

입력 2022-04-15 14:03
15일 서울 시내의 한 식당가에서 마스크를 쓴 시민들이 이동하고 있다. 연합

오는 18일부터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이 전면 해제되면서 소비 회복에 대한 기대가 나온다. 다만 지속되는 고물가로 올해 경제성장률이 2%대에 머물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 경기 회복엔 비상등이 켜졌다.

기획재정부는 15일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4월호’를 발표하고 최근 우리 경제가 수출·고용 개선세가 이어지는 반면 변이 바이러스 확산,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등으로 내수 회복 제약이 우려되고 물가 상승세가 확대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기재부는 올해 2월부터 경기 회복이란 진단을 삭제하고 이달에는 ‘물가 상승세 확대’라는 표현을 추가했다. 소비자물가는 지난 3월 4.1% 올라 2011년 4월 이후 10년 3개월 만에 4%대 상승률을 보였다.

대외 상황도 물가를 끌어올리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영향으로 공급망 차질, 인플레이션 압력이 가중되고 있고, 중국 주요 도시 봉쇄 조치와 미국 기준금리 인상 등으로 세계 경제는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기재부는 “선제적 물가 관리 등 민생 안정과 대내외 리스크 점검, 우리 경제에 미칠 파급영향 최소화에 역량을 집중하면서 변이바이러스 피해 대응과 경기회복 뒷받침에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대통령직인수위 경제1분과는 이날 한국은행과 간담회를 하고 물가 급등과 성장률 저하와 관련한 의견을 나눈 것으로 알려졌다. 고물가가 경제 성장의 발목을 잡을 것이란 우려를 공유했을 가능성이 크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오는 19일 세계경제전망에서 주요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내리고, 물가 상승률은 크게 올릴 것으로 전망된다. IMF가 발표할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2% 중반, 소비자물가 전망치는 4% 수준으로 예상된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이날 서울 통의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 열린 인수위 간사단 회의에 참석해 “우리 경제의 복합위기 징후가 뚜렷하고 특히 물가가 심상치 않다”며 “물가 상승 장기화에 대비해 물가 안정을 포함한 경제 체질 개선 위한 종합적 방안 잘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세종=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