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편입학’ 논란이 불거진 정호영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의 아들에 대해 ‘병역 의혹’까지 제기됐다. 첫 병역판정 신체검사 때 현역대상 판정을 받았다가 5년 후 다시 실시한 신체검사에선 사회복무요원 소집대상으로 판정이 달라졌다는 것이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인재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5일 보도자료를 통해 “보건복지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정 후보자의 아들 A씨(31)는 2010년 11월 처음으로 받은 병역판정 신체검사에서 현역대상 판정을 받았지만, 2015년 11월 병역판정 신체검사에선 사회복무요원 소집 대상(4급) 판정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정 후보자 측의 해명을 요구했다.
2015년 신체검사 판정결과에 따라 A씨는 2019년 2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대구지방법원에서 사회복무요원으로 근무한 것으로 파악됐다.
인 의원은 이와 관련해 “보건복지부는 (병역판정) 변동 사유와 관련한 소견서 등 상세 자료를 병무청에 요청했지만 받은 바가 없고 사실관계를 파악 중에 있다고 답변했다”고 지적했다.
인 의원은 이어 “정 후보자 자녀의 편입학 문제가 이미 불거진 상태”라며 “아들 병역 처분에 대한 의혹까지 일지 않으려면 조속히 사유를 밝혀야 한다”고 촉구했다.
더불어민주당 측은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을 향해 “과거 조국 전 법무부 장관에 적용한 잣대를 측근들에게도 똑같이 적용해야 한다”며 공세에 나셨다.
박지현 공동비상대책위원장은 국회 회의에서 “윤 당선인이 정호영 후보자의 입시비리 의혹과 한동훈 후보자의 검언유착 의혹을 조 전 장관을 수사하던 수준으로 수사하는지, 측근이라 감싸고 덮어버리는지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만약 조 전 장관에 적용한 잣대를 자신이나 측근에게는 적용하지 않는다면 국민이 나서서 심판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홍근 원내대표도 “정호영 복지부 장관 후보자 자녀의 ‘아빠찬스’ 의혹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40년 친구라고 눈 감고 귀 막아 덮을 게 아니다”며 “정 후보자가 자진사퇴를 거부하는데, 문제 많은 ‘친구 장관’ 지명을 속히 철회하는 결단을 내려달라”고 말했다.
정 후보자는 이날 서울 서대문구 국민연금공단 빌딩에 마련된 인사청문준비단 사무실 앞에서 기자들을 만나 자녀들의 경북대 의대 편입학 특혜 의혹을 재차 부인했다.
그는 관련 질문에 “특혜는 없었다”며 “서울대 교수라고 해서 서울대에 자녀를 못 보내나”라고 반문했다. 아들이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에 등재된 논문 2편에 학부생 신분으로 참여해 공동저자로 이름을 올린 것에 대해서도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취했다.
정우진 기자 uz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