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지명’에 조국 “尹의 황태자” 민주 “공안통치, 王장관”

입력 2022-04-14 09:26 수정 2022-04-14 11:00
법무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한동훈 사법연수원 부원장(검사장)이 13일 오후 서울 종로구 통의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브리핑룸에서 질의응답을 하고 있다. 인수위사진기자단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법무부 장관 후보자로 최측근인 한동훈 사법연수원 부원장(검사장)을 지명하자 여권이 14일 전방위 공세에 나섰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은 한 후보자를 겨냥해 “그냥 법무부 장관이 아니라 윤석열 정부의 황태자”라고 맹공을 퍼부었다. 윤호중 민주당 비대위원장은 “최측근, 일부에서는 황태자라고도 불리는 한동훈을 넣어서 공안 통치를 분명하게 하겠다는 의지를 표현한 것 아닌가”라고 비판했고, 조응천 민주당 의원은 “왕(王) 수석이 아니라 왕 장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조국 “한동훈, 민정수석 겸하는 장관”
조 전 장관은 이날 페이스북에서 “한동훈은 그냥 법무부 장관이 아니다. 윤석열 정부의 ‘왕(王)장관’이자 ‘황태자’”라고 날을 세웠다.

그는 한 후보자를 가리켜 “대통령의 심복 중 심복, 폐지될 민정수석을 겸하는 법무부 장관”이라고 했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019년 7월 25일 당시 청와대 본관에서 열린 검찰총장 임명장 수여식에 앞서 조국 전 법무부 장관(당시 민정수석)과 대화하고 있다. 뉴시스

또 “검찰 내부 ‘윤석열 라인’의 새로운 수장으로 기록이 남지 않는 비공식적 수사지휘를 할 수 있는 법무부 장관”이라며 “검찰 인사권을 가짐은 물론, 민정수석실 폐지로 다른 부처 고위 공직자에 대한 인사검증 권한까지 갖는다”고 지적했다.

이어 “수사기소 분리 입법 후 신설될 ‘중대범죄수사청’ 또는 ‘한국형 FBI’가 법무부 산하로 배치되면 이 역시 총괄 지휘한다”며 “수사기소 분리 성사와 무관하게 ‘상설특검’, 예컨대 이재명을 겨냥한 대장동 특검을 발동할 권한을 갖는다”고 말했다.

윤호중 “국회에 대한 선전포고” 조응천 “尹, 직진… 아집 보여”
민주당의 비판도 이어졌다.

윤 비대위원장은 이날 TBS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서 “법무부가 이제 검찰 수사권이 분리가 되면 별도 수사기관을 관장하게 될 가능성이 있고, 현재도 법무부 장관은 특검을 요구할 수 있는 권한이 있다”며 한 후보자가 전횡을 휘두를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한동훈 검사장을 법무부 장관에 임명하는 건 국민, 심지어 검찰 안에서도 놀랐을 것”이라며 “이건 국회에 대한 일종의 윤석열 당선인의 선전 포고”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인사)청문회를 통해 충분히 검증하겠다”며 “워낙 많은 사안에 검찰이 수사를 안 해서 처벌받지 않은 사건들이 많기 때문에 하나하나 파헤쳐 보겠다”고 으름장을 놨다.

한동훈 법무부 장관 후보자가 13일 서울 종로구 통의동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브리핑룸에서 열린 2차 내각 발표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인수위사진기자단

조 의원은 같은 날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민정수석 업무 중 검찰과 업무 연락은 (한 후보자와) 눈빛만 봐도 알 수 있는 분들이기 때문에 거추장스럽게 민정수석 필요 없이 할 수 있고, 인사검증도 메인은 법무부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윤 당선인이 민정수석을 폐지한 것과 무관하게 한 후보자가 사실상의 민정수석 역할을 할 것이란 주장이다.

그는 윤 당선인의 한 후보자 지명을 두고 “정말 돌아가지 않는구나, 직진이구나”라며 “아집 같은 것도 보이고 좀 걱정스럽다. 0.73% 포인트 (차로) 신승한, 아직 출발도 안 한 정부이고, 172석 거대야당이 앞으로 2년은 더 버틸 텐데 야당과 협치하고 설득하고 소통하면서 가야 하는데 계속 감정선을 건드린다”고 우려했다.

한 후보자에 대해서는 “정치인보다 더 정치적”이라며 “‘어쩔래? 한 번 해볼래?’ 이런 느낌까지 난다”고 했다.

조 의원은 한 후보자 지명의 의미에 대해서는 민주당의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 당론 채택에 대한 대응 카드 성격이라고 풀이했다. 그는 “중장기적으로 한국형 FBI로 가면, FBI가 미국 법무부 산하에 있는 것처럼 일단 법무부로 가는 게 맞다고 중론이 모이는데 거기에 딱 노루목을 자처하는 것”이라고 했다.

다만 조 의원은 당 주류의 분위기와 달리 검수완박에 대한 신중론을 언급했다. 그는 “부패수사에 대한 소위 말하는 거악 대응역량이 낮아질 것”이라며 “형사사법시스템을 주먹구구식으로 하는 건 온당치 않다고 본다. 날짜를 5월 9일까지로 못 박아서 밀어붙이는 것도 동기가 순수하다고 보이지 않을 것”이라고 소신 발언을 했다.

구자창 기자 critic@kmib.co.kr